•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硏究 (A Study on Buddhist Paintings of Late Joseon Period & Vessel Types Expressed on the Offering Vessels of Buddhist Hal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7.06
27P 미리보기
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27호 / 853 ~ 879페이지
    · 저자명 : 허상호

    초록

    조선후기 사찰에 전래되는 佛殿用 陶磁器와 器物이 전무한 상황에서 불화와 불전장엄구ㆍ문헌을 통한 기물의 분석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특히『兜率山 禪雲寺誌』「禪雲寺 法堂諸庵各房 常用器皿 傳掌緣記」를 통한 15세기 이후 17세기까지의 선운사 常用器物의 분석은 불전 의식용구가 불ㆍ보살의 위계질석에 따라 분류되고, 器物 역시 佛ㆍ菩薩을 공양하기 위한 전각의 위계에 따라 세트화된 규칙과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같이 제책되어 있는『禪雲寺古蹟』(1707)「殿閣寮舍 創建年代 芳名列目」을 통해 불전 장엄용구를 지칭하는 古語로 輪用 , 화려하게 장식ㆍ장엄한다는 의미로서 修粧 이라는 용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 불화에 표현된 도자기물이 불ㆍ보살의 공양ㆍ장엄을 위한 부수적인 문양으로 표현되었지만 화원의 기법과 지역별 특징, 보살의 장신구와 더불어 시대성을 함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불화의 문양에는 당시 즐겨 쓰던 도상과 문양이 소재로 등장하는 것이 일면 당연한 결과인데, 도자기물의 시대성을 알 수 있는 청화백자의 도상 채용, 문양으로서 壽福文 채택, 중국제 골동기의 표현은 주홍과 녹청, 황색으로 구별되는 화파별, 시대별 색감의 차별처럼 기물 역시 시대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감로탱의 제기나 향로처럼 의식과 의례용 기물은 축원 대상의 전통적인 기물인 祭器라는 인식하에 祭禮와 관련된 기물들이 조선후기에도 여전히 고수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별, 화파별 특징을 보여주는 기물로 17ㆍ18세기 정병은 삼족이 있는 것과 없는 도상이 서남해안 지역에서 중국의 화보에 영향을 받은 의겸화파의 영향을 반영하듯 중국 당대 정병 도상을 채택하고 있어, 불화에 보이는 도자기물이 사찰에 전래된 불교용 도자기 외에 화보의 영향 아래 전래된 두가지 도상이 혼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사찰에 전래되는 불교 도자기와 기물이 전무한 현 시점에서 불화와 불전장엄구를 통해 17세기 이후 사찰용 기물을 淨甁류(甁, 頭壺, 注子-물과 관련된 그릇), 碗ㆍ鉢ㆍ楪ㆍ盞ㆍ托류(공양그릇), 盒류(뚜껑있는 그릇), 花甁ㆍ花盆류(꽃공양과 관련된 장엄구), 香爐류(尊, 鬹-불과 관련된 기물), 항아리류, 기타(목욕기, 상형기물 등)등 7가지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입체적인 도상을 회화의 단면적인 형태로 살펴 보는 분석과 분류의 시도만이 이루어져 불전용 도자기물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다소 미흡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앞으로『進饌儀軌』나 <班次圖> 같은 18ㆍ19세기 궁중회화를 중심으로 시대성을 반영한 기물을 분석하여, 불교용 기물과 유교용 기물이 도상을 통해 구분되고 회화로 표현된 기물들이 의식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살펴 보는 시안으로 삼으려 한다.

    영어초록

    It is significant thing to analyze vessel type through Buddhist Paintings, offering vessels and records in the present situation without porcelains and vessels handed down to temple in late Joseon period
    According to 『Dosolsan Seonwoonsaji』, offering vessels were classified into order of rank of Buddha and Bodhisattva. Also offering vessels were used by rank of building.
    The same book defined these offering vessels as Yoonyong(輪用) and Soojang(修粧).
    Porcelains and vessels expressed on Buddhist paintings was used as accompanying decoration for offering to Buddha and Bodhisattva, however, these vessels reflect tendency of those days. In addition Buddhist paintings of those days reflected various vessels such as blue and white porcelain, Chinese Bronze, and Chinese porcelain.
    However the ritual vessels of Sweet Nectar Paintings follows the traditional vessel type. Especially the Kundika expressed on Buddhist paintings of 17th and 18th century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ripod. Kundika without tripod reflects the real thing, however, Kundika with tripod reflects painting album that was introduced into Joseon from Qing China.
    This paper groups Buddhist offering vessels into seven classes according to vessel types through Buddhist paintings, offering vessels and records. Hereafter we need to study on adopting Confucian vessels and comparing Buddhist vessels with Confucian vess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