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Re-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Rock-carved Buddhas in Yongbongsan Mt., Hongse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5호 / 103 ~ 132페이지
    · 저자명 : 진정환

    초록

    본 논문은 홍성 용봉산에 있는 용봉리 마애불과 신경리 마애불의 조성 시기와 그 배경을 재검토한 논문이다.
    삼국시대 내포지역에는 백제의 사찰과 마애불 등이 조성되었으나, 아직 홍성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내포지역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주목할만한 불교미술품이 홍성지역에 조성된다. 이 논문에서 龍鳳寺 貞元 15年(799년)銘 磨崖佛로 신라 중대에서 하대로 변모하는 과도기적 양상과 함께 발원자와 장인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8세기, 후삼국기, 10세기 등 조성 시기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던 新耕里 磨崖佛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조성 시기와 배경을 검토하였다.
    용봉사 정원 15년명 마애불은 신라가 중대에서 하대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국가적 차원의 불교 확산의 근거로 인식되었으나, 실제로는 私的 불사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인의 수급이 어려워 僧匠이 불상을 제작하면서 조형성이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경리 마애불은 고려전기 석불의 양식과 비교해볼 때, 11세기 2분기를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기는 거란의 침입 직후로 혼란기였는데, 홍주의 호장층이 흔들리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홍주의 읍민이 거국적으로 참여하는 불사의 하나로 신경리 마애불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읍기가 아닌 용봉산 중턱에 신경리 마애불을 조성한 이유는 용봉산의 과도한 지세를 보완하기 위한 裨補寺塔說에 근거했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Baekje era, temples and Buddha statues were built in the Naepo area. However, in the Hongseong area, no Buddhist temples or Buddhist art works from the Sabi period in Baekje have been confirmed so far. After Silla unified the three countries, the most important and remarkable Buddhist art in the Naepo area has been created in the Hongseong area. These are the rock-carved Buddha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was inscribed in the 15th year (799 CE) of Zhenyuan (貞元, Jeongwon) in Yongbong-sa Temple and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a treasure of Korea) in the mountain behind Yongbong-sa Temple. This article considered the changes in the originators and craftsmen, as well as the transitional aspect of the transformation of statues from the middle period to the late period of Silla through the Yongbong-sa rock-carved Buddha.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background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which raised various views on the construction period such as the 8th century,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the 10th century.
    The Yongbong-sa rock-carved Buddha inscribed in the 15th year of Jeongwon was recognized as the basis for the spread of Buddhism at the national level du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s’ transitions of Silla, but it is actually identified as a Buddha statue that originated personally. For this reason, it was difficult to supply and demand of craftsmen, the monk craftsman made a Buddha statue, which led to poor formability.
    There have been the view on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such as in the late 9th century ∼ early 10th century,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t was built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11th century, compared to the stone Buddha style of the early Goryeo period. This period was a period of confusion immediately after the invasion of Khitan (契丹), and it is believed that the villagers of Hongju built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as part of the Buddhist service in which the villagers of Hongju (Hongseong) participated nationwide to deal with the public sentiment. In addi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as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ingyeong-ri rock-carved Buddha on the hillside of Yongbongsan Mountain, not twon of Hongju (Hongseong),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complementary temple and stupa (裨補寺塔說) to compensate for the excessive geographical features of Yongbongsan Mount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