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世紀 畵僧 瑞輝 佛畵의 特徵과 意義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19th century buddhist painter seohwi's painti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19世紀 畵僧 瑞輝 佛畵의 特徵과 意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0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이종찬

    초록

    본고에서는 19세기 후반에 四佛山畵派의 일원으로서 활동한 화승 瑞輝에 주목하여 그가 남긴 불화의 현황과 특징을 토대로 畵緣關係와 화풍 등을 분석하였다.
    서휘는 1880년 문경 김룡사 금선암 <석가모니불도>, 김룡사 양진암 <석가모니불도>, 김룡사 <사천왕도> 조성에 참여하며 화업을 시작한 이후 1890년 명봉사 <산신도>의 조성까지 약 10년간의 활동이 확인되는 화승이다. 서휘가 남긴 불화 중 다수가 경상북도일대에서 확인되며 대부분 霞隱應詳을 비롯한 사불산화파의 화승들과 함께 하였다.
    사불산화파는 18세기에 弘眼과 信謙을 필두로 형성되어 大乘寺와 金龍寺를 중심으로 활동한 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화파이다. 신겸 이후 하은응상이 주로 활동하였는데, 그는 사불산 佛母로 칭해지며 다수의 화승을 양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하은응상의 화맥은 서휘, 法任, 台三 등에게 계승되었다. 이들 중 서휘는 동시기에 화업을 시작한 화승들을 보조화승으로 하여 불화를 조성한 점에서 주목된다.
    서휘의 활동은 보조화승시기와 수화승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보조화승기에는 사불산화파를 이끈 하은응상의 화풍을 많이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화승시기에 들어서는 다양한 도상의 불화를 그렸으며 칠성도, 독성도, 산신도를 많이 남겼다. 또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석가모니불도, 신중도, 관음도가 같은 해 충주 보현암에 봉안된 서휘의 불화임을 확인했다. 관음도, 산신도 등에서 기존에 조성된 것과 다른 독창적인 구도를 볼 수 있다.
    한편 관음보살도, 다수의 산신도, 독성도 등에서 서휘의 화풍이 드러나는 불화를 찾을 수 있다. 독성도는 지물이나 배경의 차이를 제외하면 사불산화파의 화풍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관음보살도는 서휘와 유사한 구도의 작례가 없으며 산신도는 호랑이의 자세나 배경에 그려진 나무의 굴절 등에서 서휘의 산신도와 높은 친연성을 보인다. 이 불화들은 서휘의 불화보다 늦은 시기에 조성된 것이다. 당시의 화승들은 모본을 토대로 도상을 그리되 본존에 변화를 주지 않는 선에서 본인만의 화풍을 드러낸다. 이 불화들은 서휘가 직접 참여한 것이거나 혹은 서휘의 불화를 모본으로 하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서휘가 사불산화파의 화승을 받아들여 후배화승들에게 계승하는 역할에 가담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sed painting style and relationship of Monk painter Seohwi(瑞輝), who was a member of the Sabulsan(四佛山) Buddhist Painting School in late 19th century, based on the status and features of his own painting. According to this, the meaning of his buddhist painting in Sabulsan Buddhist Painting School can be determined. Seohwi has started his works in 1880, participating in buddhist painting of Gimryong-sa(金龍寺), and until in the artworks in Myongbong-sa(鳴鳳寺) of 1890. His buddhist painting generally can be found in Gyungsangbukdo(慶尙北道) province around, and most of them were worked together with members of the Sabulsan School.
    The Sabulsan School was representative school of Gyungsangbukdo province, formed in 18th century, led by Hongan(弘眼) and Singyeom(信謙). Haeuneungsang(霞隱應詳) mainly worked after the period that Singyeom worked. His style was succeeded to Seohwi, Bubim(法任), Taesam(台三) and so forth. Seohwi is remarkable that he was the leading monk painter. Other monk painters assigned as assistant monk painters of Seohwi. In his assistant monk paniter days, he accepted the style of Haeuneungsang. When he became head painter, he drew various kind of buddhist painting. Chilseongdo(七星圖), Dokseongdo(獨聖圖), Sansindo(山神圖) was his main artworks. And the Sakyamuni painting(釋迦牟尼佛圖), Sinjungdo(神衆圖), Avalokiteshvara Painting(觀音圖) possessed by Dankook University Seokjuseon Memorial museum are Seohwi's artworks enshrined in Bohyun-am hermitage(普賢庵). It was in the same year with Chilseongdo, Dokseongdo, Sansindo of Bohyun-am possessed by Beopju-sa(法住寺) made in 1888, also known as his works. Its identical composition can be found on Avalokiteshvara Painting and Chilseongdo, compared to his other existing works.
    In the mean time we can find buddhist paintings that is similar to Seohwi's style on Avalokiteshvara Painting of Jikji-sa(直指寺), Chilseongdo of Eunhae-sa(銀海寺) and any other Sansindo and Dokseongdo. These buddhist paintings are produced in later than the Seohwi's artworks. It can be assumed that they are painted by Seohwi or later monk painters who were affected by Seohwi. At that time, monk painters tend to appear their own styles, drawing it based on examples, not changing the main buddha’s styles of originals. These buddhist paintings can be presumed that Seohwi himself participated in or the later monk painters refer to his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