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이익재심의 허용여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A Study on the Comparative law review to the disadvantage Retria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06
24P 미리보기
불이익재심의 허용여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7권 / 2호 / 193 ~ 216페이지
    · 저자명 : 권오걸

    초록

    재심이란 유죄의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그 판결에 중대한 사실인정의 오류가 있는 경우에 판결을 받은 자의 이익을 위하여 확정된 판결을 시정하는 비상구제절차를 말한다(제420조). 확정 판결이 비록 기판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 내용이 극히 의심스러워 그러한 의심을 포기하고 법원으로 하여금 다시 심사하게 하지 않는다면 정의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위반이 되는 경우가 분명히 존재한다. 원칙적으로 재판의 기판력(확정력)은 형사절차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절차적 안정성의 이념과 더불어 더 이상 한 사건에 형사사법의 자원이 소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송경제의 이념에도 이바지 한다. 그러나 정의감정에 비추어 감내하기 힘들 정도로 명백한 확정판결의 오류를 방치하는 것은 피고인 개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형사사법에서 실체적 진실발견의 이념을 또한 훼손하는 결과가 된다. 결국 명백한 오류를 시정함으로써 형사사법에 있어서의 절차적 정의와 실체적 정의가 일정한 균형을 이루도록 유지하고 조정하는 제도가 바로 재심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형사소송법의 재심제도의 전체적 구조는 법적 안정성과 정의를 조종하려는 라드부르흐 공식과 상당부분 일치한다.
    불이익재심이라 함은 무죄판결을 받은 자가 차후에 진범임이 밝혀진 경우에 그자에 대한 재심을 통해 유죄선고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한마디로 무죄자가 유죄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비상구제절차를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재심의 근거를 실체적 진실발견에 둔다면 비록 피고인에게 불리한 경우에라도 재심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논거이다. 그러나 만약 불이익재심이 인정된다면 반복되는 기판력의 배제로 법적 안정성이 파괴되고, 궁극적으로는 홉스가 말한 것처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가 초래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라도 완전한 진실이 발견될 수 없다면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것이 공동체의 법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불이익재심을 허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문제들은 행정법적 절차나 민사구제절차 등으로 해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형사소송법은 유죄의 확정판결에 대하여 그 선고를 받은 자의 이익을 위하여(제420조) 그리고 항소기각판결이나 상고기각판결에 대하여는 ‘그 선고를 받은 자의 이익을 위하여(제421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익재심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익재심제도는 3심제라는 심급제도와 확정판결의 확정력에 따른 소송법적 효력을 희생하더라도 피고인에게 유리한 실체적 진실발견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우리 입법자의 형사정책적 결단이다. 피고인 보호의 범위 내에서의 실체적 진실발견과 법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을 형사사법시스템의 근본으로 생각한 것이다. 따라서 이익재심만을 허용하는 현행법의 태도는 타당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A retrial system is justice by eliminating the injustices that occurred in a concrete case relief system of special right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e restriction to find substantial truth is the limitation of human faculty. The substantial truth in the Criminal Procedure come from the judge’s subjective belief. The truth in the Criminal Procedure is made through the investigation process as well as procedure in a public trial. The truth must be found through the evidence which is present at the time, The Law give the truth the effect of ‘non bis in idem’. It is the request of the legal stability that materielle Rechtskraft has to be acknowledged unless a special case. But this materielle Rechtskraft can be excluded, if materielle Rechtskraft rather play a role keeping the unjustice. This is what is Retrial system.
    The Formula of the Radbruch declare that substantial justice is superiority over the formal justice, If Law and norms, final judgement and Positive law system are enough contradictory to substantial justice. At this time substantial justice include procedural justice which is on the assumption to guarantee the right of accused for the finding the substantial truth. This procedural justice means that the process excluding a decision of “not guilty” must not be proceed to the accused who is found not guilty through the dues process of law. Namely Priority purposes of the retrial is to exclude Unjustice. Unjustice means national criminal procedure that brand innocent criminal. But if the judge give non-guilty sentence to criminal based on the all evidence according to empirical rule as well as logics, The result is not Unjustice but result of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as well as it’s Inherent limitations. If disadvantage retrial is accepted, legal stability is destroyed because of repetitive exclusion to the res judicata.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we do not accept the disadvantage ret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