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개선을 위한 법제적 연구 (A Legal Study to Improve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3.10
33P 미리보기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개선을 위한 법제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6권 / 2호 / 7 ~ 39페이지
    · 저자명 : 김대지, 김상겸

    초록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의회의 특권이다. 17세기 초 형성된 불체포특권은 당시 군주로부터 압박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불체포특권은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하였는데, 현대에도 많은 국가는 자국의 상황에 맞게 불체포특권을 헌법에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건국헌법에서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을 규정한 이후 현행 헌법은 제44조에 규정하고 있다.
    불체포특권이 헌법상 국회의원의 특권임에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이 특권을 오⋅남용하였기 때문이다. 불체포특권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은 권위주의 정부의 시대가 갔지만, 오히려 1990년대 중반 민주화된 정치환경에서 오⋅남용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제15대와 제16대 국회에서는 무려 27건의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지만, 한 건도 처리되지 못하였다.
    이런 국회의 태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것은 제19대 국회이다. 그동안 국민으로부터 방탄국회라는 비판을 받을 것에 대한 반응으로 11건의 체포동의안 중 4건을 가결한 것이다. 불체포특권은 국회의원 개인의 신체의 자유를 보호하여 자유로운 의정활동을 보장함으로써 행정부의 자의적인 탄압이나 억압으로부터 국회의 정상적⋅자주적 기능과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불체포특권의 헌법적 의미와 기능에도 불구하고, 오⋅남용으로 인하여 헌법적 의미와 가능을 상실한다면, 불체포특권의 존재에 대하여 헌법현실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불체포특권이 오히려 대의제 민주주의와 법치국가원리를 훼손한다면 헌법적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특히 국회의원이 주어진 지위와 권한을 이용하여 실정법을 위반함에도 의정활동을 계속하는 것은 역으로 헌법질서를 훼손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에 대하여 그동안 이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그러나 헌법에 명문 규정을 두고 있어서 헌법을 개정하기 전에는 특권 자체를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실질적 법치국가의 시대가 왔다고 하여도 외압으로부터 공정한 국정 수행을 위하여 불체포특권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현행 불체포특권은 헌법적 의미를 살리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불체포특권의 기본적 내용은 헌법을 개정하기 전에는 변경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불체포특권의 요건과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국회법의 개정을 통하여 불체포특권을 개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을 의무화해야 한다. 체포동의서의 제출과 함께 국회의원에게 소명기회를 부여하고, 국회의원 스스로 자진 출두 등의 방법으로 수사를 받겠다고 하면 체포동의안을 철회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외에도 국회의원 선서에 불체포특권의 오⋅남용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fo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s a privilege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 a long history.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established in the early 17th century, was a means to avoid pressure from the monarch at the time.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imes and countries, and even in modern times, many countries stipulate the privilege against arrest in their constitutions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Since Korea's founding constitution in 1948 stipulated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fo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current constitution stipulates it in Article 44.
    Although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is a privilege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under the Constitution, controversy continues because this privilege has been misused. The reason why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came to b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was because the era of authoritarian government was over, but it began to be misused and abused in the democratized political environment in the mid-1990s. In the 15th and 16th National Assembly, as many as 27 arrest motion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not a single case was processed.
    It was during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at this attitude of the National Assembly began to change. In response to criticism from the public that the National Assembly was bulletproof, four of the 11 arrest motions were passed.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has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physical freedom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ensuring free legislative activities, thereby ensuring the normal and independent functions and activities of the National Assembly from arbitrary suppression or oppression by the executive branch.
    Despite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rivilege not to be arrested, if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possibility are lost due to misuse and abuse,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realistic discussion on the existence of the privilege not to be arrested. If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actually undermines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it will lose its constitutional meaning.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continue to engage in legislative activities despite violating positive law by using their given status and authority, this may conversely undermine the constitutional order.
    There have been many voices calling for improvement regarding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However, because there is an explicit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the privilege itself until the Constitution is amended. And even if the era of a country with the practical rule of law has arrived,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can be seen as necessary to conduct state affairs fairly against external pressure. However, the current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must be improved to preserve the constitutional meaning.
    The basic content of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should be considered impossible to change until the Constitution is amended. If so, the privilege without arrest should be revised through rev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which stipulates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the privilege without arrest. To achieve this, once an arrest motion i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 vote must be held within 72 hours after 24 hours. It is necessary to giv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 opportunity to explain themselves along with the submission of consent to arrest, and to withdraw the consent to arrest i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themselves agree to undergo the investigation by voluntarily appearing.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include in the oath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 clause promising not to misuse or abuse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