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이론(不二論) 쉬바파의 재인식 개념 고찰 (A Study on the Pratyabhijñā(the Self-Recognition) of Advaita Śaiv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9
19P 미리보기
불이론(不二論) 쉬바파의 재인식 개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26호 / 51 ~ 69페이지
    · 저자명 : 심준보

    초록

    본 논문은 재인식론의 재인식 개념을 재인식론의 대표적 경전인 『자재신재인식송(自在神再認識頌, Īśvarapratyabhijñā-karikā)』(IPK)과 주석서인 『자재신재인식송주(Īśvarapratyabhijñā-vimarśini)』(IPV), IPV의 요약서인 『재인식정수(Pratyabhijñā-hṛdayam)』(PH)와 기타의 재인식론 관련 논서들을 통해 해설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도의 전통적 지식론의 일반적 재인식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르면 재인식이란 예를 들어 “이것은 어제의 그 사과다”라는 경우처럼 이것이라는 현재의 지각과 어제의 그 사과라는 과거에 경험한 사과에 대한 지각이 동시에 발생하여 지금의 지각을 과거의 지각에 따라 확인하는 지각이다.
    다음으로 불이론 쉬바파의 재인식 개념을 아비나바굽타는 “푸라나들이나 싯단타, 아가마들이나 추론들을 통하여 얻은 완전한 힘(pūrṇaśakti)을 가진 자재신에 대한 지식과, 늘 면전에 존재하는 자성(自性)에 대한 즉각적인 경험, 두 경험들의 통합을 통하여 “확실히 나는 자재신이다”라는 형태로 [재인식은 일어난다.]“고 하였다.
    아비나바굽타의 정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중국 불교철학의 체상용 개념을 이용해서 재인식의 개념을 설명했다. 아울러 재인식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염오(染汚, mala)와 칸추카(kañcuka) 개념을 설명하면서 해설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ained the concept of Pratyabhijñā through Īśvarapratyabhijñā-karika(IPK), Īśvarapratyabhijñāvimarśini(IPV), and Pratyabhijñāhṛdayam(PH) that are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the Pratyabhijñā-vāda To this end, first, the general concept of India's traditional knowledge theory on recogniti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recognition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This is the apple of yesterday," what current one perception of ‘this’ and other perception of ‘the apple of yesterday’ occur at the same time to some one, and then he/she confirms current perception on the apple of now through the past(yesterday) perception on the apple And Abhinavagupta who a great scholar of Advaita Śaiva said on the concept of the Self-recognition(Pratyabhijñā) as like that “…… having been got through the well known Purānas, Siddhānta, Āgama and inference etc., and the immediate apprehension of one’s own self being always there, recogition arises through the unification of two experiences in the form : ‘Certainly I am that very Lord.’” This paper is based on Abhinavagupta’s definition on the Self-recognition and tried to explaine the concept of it through the concept of the essence(體), the reason(相) and the function(用) of Chinese Buddhism. Then,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the Self-recognition does not occur through the concept of mala(dirt) and kañcu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