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桂苑筆耕集』과 崔致遠의 儒・佛・仙 사상 (Gyewon Pilgyeongjip and Choe Chi-won’s Thoughts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12
29P 미리보기
『桂苑筆耕集』과 崔致遠의 儒・佛・仙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62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최광식

    초록

    우리는 최치원이 말년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난랑비서」를 활용하여 최치원의 사상을 논할 때 유교와 불교 및 도교 등 삼교를 아우르는 삼교 융합을 최치원의 사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계원필경집』을 보면 최치원은 당나라에 있을 때부터 유교와 불교 및 도교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깊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치원은 12세에 당나라로 떠나기 전에 이미 풍류도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추고 있었고, 이후 과거시험 준비를 위해 유교 경전을 깊이 탐구하였다. 그의 저서 『계원필경집』에서는 『논어』와 『예기』를 주로 인용하며 인의정신과 충효사상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인다. 또한, 불교에 대해서는 『금광명경』과 『법화경』을 통해 호국불교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관음보살에 대한 애정이 담긴 시를 통해 개인적인 관음신앙에 대한 흥미를 드러낸다. 특히 회남지역에서 해상 활동의 보호를 위해 관음신앙이 유행하고 있었음을 고려할 때, 그의 신앙적 배경이 잘 드러난다.
    더 나아가 최치원은 고변의 종사관이 되기 이전부터 과거시험의 필수 과목인 『도덕경』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후 도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도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그는 도가사상과 신선사상 모두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있었지만, 도가사상을 주로 수용하고 신선사상 중 내단을 강조하며 호흡 수행에 집중하였다. 최치원의 사상에서 삼교 융화의 개념이 잘 나타나며, 그는 귀국 후 유교의 충효사상, 불교의 권선징악적 윤리, 도교의 무위자연사상을 조화롭게 통합한 사상적 성취를 이루었다. 이러한 과정은 그의 사상적 진화와 더불어 신라 시대의 문화적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영어초록

    When we discuss the thought of Choe Chi-won(崔致遠, 857–?) as reflected in the Nallangbiseo(鸞郞碑序), which he likely composed in his later years, we are talking about the fusion of the three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s Choe Chi-won's thoughts. However, looking at Gyewon Pilgyeongjip(桂苑筆耕集), we can see that Choe Chi-won had deep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since his time in the Tang Dynasty.
    Even before his departure to Tang at the age of twelve, Choe was aware of the indigenous Korean spiritual tradition of pungnyudo (風流道). Upon arriving in China, he immersed himself in Confucian classics, primarily referencing The Analects and The Book of Rites in Gyewon Pilgyeongjip. His work shows a particular affinity for the Confucian virtues of benevolence and loyalty-filial piety.
    In terms of Buddhism, Choi cited texts such as the Golden Light Sutra(金光明經) and the Lotus Sutra(法華經), underscoring his inclination towards a form of Buddhism that supported state protection. This emphasis aligns with his role as a scribe under military governor Gao Bian(高騈), suggesting a pragmatically patriotic application of Buddhist doctrine. Additionally, his poetry reveals a personal devotion to Avalokiteśvara(觀音), hinting at a deeper, individual engagement with Buddhist faith beyond his official duties.
    Regarding Daoism, Choi had engaged with the Daodejing(道德經), a requisite text for the Tang imperial examination, even before his appointment under Gao. His association with Daoist priests during his service contributed to his expanding knowledge of Daoist principles and practices. Choi demonstrated an understanding of both Daoist philosophy and longevity practices, though he preferred inner alchemy practices focusing on breathwork over external alchemy involving elixirs.
    When we discuss Choe Chi-won's idea of harmoniz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we usually refer to the contents of Nallangbiseo and say that Choe Chi-won fused the three religions in his later years. However, his awareness of the harmony of the three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s already clearly expressed in the Gyewon pilgyeongjip. After returning to Silla, he is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ideology in that he conceptualized aspects that were based on the unique pungnyudo and harmonized the Confucian idea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uddhism's ethics of encouraging and punishing evil, and Daoism's idea of inaction(無爲) and nature, which were later introduced and accep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