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축제로서 수륙재의 활성화 방안 연구 (Measures to Vitalize Suryukjae as a Buddhist Festiv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불교축제로서 수륙재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22권 / 275 ~ 307페이지
    · 저자명 : 고상현

    초록

    불교축제로서의 수륙재는 문헌상으로 고려시대부터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며 변화해 왔다. 수륙재는 최근 10여 년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설행되고 확산되고 있다. 또한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축제로서 수륙재를 바라보고 논의를 전개한 것은 거의 없었다.
    본고에서는 수륙재의 형태를 사찰을 중심으로 설행하는 불교의례축제와 일반 축제에서 설행하는 불교문화축제로 나누어 대표적인 사례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수륙재의 축제적 속성을 종교적 신성성을 지닌 재의성과 소통성, 유희성, 문화성 그리고 환본성으로 분류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축제로서의 수륙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륙재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는 원천요소의 복원으로 불교계와 정부가 수륙재의 전국적인 설행 형태 조사 및 수륙의례집의 조사와 판본별 비교, 의례의 한글화를 비롯하여 복원이 하루 빨리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는 핵심인력인 어산(魚山)의 양성, 셋째는 공간의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으로 분리로, 특히 외적 영역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적이고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넷째는 수륙재의 개최기간 변경 고려, 다섯째는 문화성으로서 지역사회와 연계하고 공교육에서 교육 강화, 여섯째는 축제로서의 수륙재의 요구분석과 평가, 일곱째는 불교의례축제인 수륙재의 대중화에 대한 자신감, 여덟째는 수륙재 홍보달력의 제작ㆍ보급 등이다.
    수륙재 의례집과 다양한 지역에서 설행되었거나 설행되고 있는 수륙재를 발굴하고 조사하는 일은 새로운 축제문화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이다. 또한 축제로서의 수륙재를 더욱 풍부하게 하고 보편성과 지역성을 지닌 축제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Buddhist festival Suryukjae first emer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has lasted to this day, all the while evolving throughout different eras. In the past 10 or so years, Suryukjae has been actively observed and expanded upon. Moreover, studies have also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festival. However, very few studies view Suryukjae as a festival.
    The present study briefly examined the different forms of Suryukjae by dividing prime examples of Buddhist cultural festivals into Buddhist ceremonial festivals held in temples and general festival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Suryukjae were classified into features with religious sanctity, which included ritualism, communication, playfulness, culture, and a return to the origin of human nature. Finally, measures for vitalizing Suryukjae as a festival were discussed. First, for restoring the source elements of Suryukjae, it is imperative that Buddhists and the Korean Government perform a nationwide survey of how Suryukjae is being observed, along with an investigation of Suryuk ritual documents that includes comparisons of different editions and translation of the documents into Korean. Second, Eosan monks, key participants in the Suryukjae festival, should be given adequate training. Third, the internal aspects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aspect. The external aspect must consist of infortainment and edutainment. Fourth, the period during which Suryukjae is held should be changed. Fifth, associations with local communities should be made through its cultural aspects and public education the subject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the requirements for conducting Suryukjae should be analyzed and evaluated. Seventh, Suryukjae should be popularized as a Buddhist ceremonial festival. Eighth, promotional Suryukjae calendars should be promoted and distributed.
    The discovery and investigation of the many documents related to Suryukjae ritual that have been, or still are, being observed in various regions in Japan will be instrumental in adding new cultural content to the festival, and will allow Suryukjae to be reborn as a festival with greater local and universal flav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