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불갑사 불교조각의 一考察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r Joseon Period at Bulgap-sa Templ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0.06
39P 미리보기
조선후기 불갑사 불교조각의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1
    · 수록지 정보 : 서지학보 / 35호 / 119 ~ 157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영광 불갑사는 삼국시대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법성포에 인접하여 불교초전의 현장에 세워진 호남불교 제1의 사찰일 뿐 아니라, 고려후기에 修禪社 13조였던 覺眞국사 復丘(1270-1355)의 하산소로 대단한 寺勢를 누렸던 사찰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곳 불갑사 대웅전에는 조선후기 1635년 당시 대표적인 조각승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無染이 제작한 목조삼세불좌상이 봉안되어 있고, 명부전에는 1654년에 무염과 제자 海心에 의해 제작된 지장보살과 그 권속의 여러 존상들이 봉안되어 있다. 이 밖에도 현재 불갑사 성보박물관에 진열되어 있는 석가삼존불상과 십육나한상(8구 잔존) 및 제 존상은 1706년에 색난파 화승이었던 楚卞이 제작한 상들이다.
    17세기의 대표적 조각승이었던 무염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불갑사의 제 존상들을 중심으로 무염의 조각승으로의 성장배경과 주변 인물, 師承관계 등에 대해 살펴보면, 무염이 碧巖覺性을 비롯한 浮休善修 門徒와 유대를 맺고 조각승으로의 역량을 쌓았던 곳은 순천 松廣寺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송광사에서는 다년간 대규모 重建佛事가 이루어졌고, 여기에 覺敏, 幸思, 應元 등이 참여하였는데, 이들이 제작한 여러 불상들은 조각승을 꿈구는 무염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무염은 그들 가운데 특히 행사에 師事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무염계의 사승관계는 幸思에서 無染을 거쳐 海心으로 내려오는 것으로 보이는데, 다른 조각승 유파에 비해 사승관계에 대한 명시가 특별히 강조된 점이 눈에 띤다. 이는 당시 전라도 일대에서 영향력이 컸던 무염계 조각승들에게 이 유파의 적법 제자가 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한편, 불갑사 석가삼존상과 십육나한상은 楚卞이 수화승을 맡았던 현존 유일의 작품으로 그 양식은 보조화승으로 일했던 色難과 忠玉의 작품들과 상통하고 있어 초변이 색난 작풍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동시에 초변 특유의 상호표현과 조형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불갑사의 불교조각은 정유재란 이후 사찰들이 대대적으로 중건되던 17세기 전반에 불갑사가 무염파 조각승들의 주요 활동무대였고, 18세기 초에는 색난파 화승들이 활약했던 대표적인 사찰 가운데 한 곳임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uddhist images of Bulgap-sa temple at Yeoung- gwang, South Jeolla Province. As is conveyed by the name Bulgap-sa itself, which means ‘the first in Buddhism’, Bulgap-sa is located near the port where Buddhism was first transmitted to Baekje in 384 A.D., and is believed to have long flourished until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1592-98 A.D.). In the early 17th century, Bulgap-sa was reconstructed, and the Sakyamuni Buddha triad made by famous monk-sculptor Muyeom and his crew in 1635 AD was enshrined in the main hall. Some two decades later, in 1654 AD, Muyeom again made Kṣitigarba and its attendant images of Myeongbu-jeon at Bulgap-sa with his disciple Haesim and others. Documents found in the cavity of the images indicates that among Muyeom's disciples Haesim was the legal successor, and that the sculptural style of Muyeom was well carried on by his disciples. It is worth noting that inscriptions corresponding to Muyeom which emphasize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and imply the status of Muyeom as a high-ranking sculptor as well as the fact that being his heir meant practical advantage.
    Bulgap-sa has another triad set of Sakyamuni Buddha, eight Arhat images, and other attendant images enshrined there, which were made for the building of Arhats by Chobyeon, most likely one of the followers of Seknan, the famous monk-sculptor of the early 18th century. These images at Bulgap-sa museum are the only surviving works done by Chobyeon as a leading sculptor. Their style, in spite of a close relationship with Seknan's style, demonstrate Chobyeon's own characteristics.
    Buddhist sculptures of Bulgap-sa are of great importance in understanding later Joseon Dynasty Buddhist sculpture, as a major stage for the monk-sculptors of th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