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칠성신앙의 도불습합(道佛習合) 연구 -도선암 본 『태상현령북두본명연생진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xing of Buddhism and Taoism in Chilseong fai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3
3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칠성신앙의 도불습합(道佛習合) 연구 -도선암 본 『태상현령북두본명연생진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2권 / 1호 / 87 ~ 117페이지
    · 저자명 : 정진희

    초록

    불교 칠성신앙에 도교적 성향이 짙게 나타나는 배경에는 소격서의 혁파, 신중으로서의 칠성, 권선서(勸善書)의 유행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 사찰에서 판각되고 인경된 『태상현령북두본명연생진경(太上玄靈北斗本命延生眞經(이후 연생진경))』은 불교성수신앙의 도불습합 경향을 잘 반영하는 사례이다. 『연생진경』의 내용과 칠성모티프가 그려지는 치성광여래 도상의 시대적 변천을 고려하면 칠성신앙의 도불습합은 18세기를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하고 18세기 후반에는 거의 구분이 모호할 정도로 혼용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조선 말 김좌근의 시주로 이루어진 도선암 본 『연생진경』은 도교적 색채가 가장 짙었던 19세기 서울지역 칠성신앙의 성격을 잘 말해준다. 권문세도가의 정점에 있던 유학자가 숭유억불이라는 사회이념을 따르지 않고 더구나 음사(淫祀)로 터부시 되었던 성신(星辰)을 모시는 불사를 지원하고 있다. 이는 도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던 18세기 후반 이후 사회적 분위기와 유불선 삼교합일이라는 당시 사상적 배경이 작용하여 가능할 수 있었다. 칠성신앙의 도불습합에 대하여 19세기 일부 사찰을 중심으로 조선전기 약사칠불과 같은 성격을 보이는 불교의 칠성여래로 돌아가기 위한 자성적 노력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e Bid Dipper faith in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has a feature which can be represented as Chilseong‒Nyeoryeo(七星如來), similar to Yaksa‒Chilbul(藥師七佛) in Buddhism. This feature has gradually entered upon a new phase in the late period, symbolized as Chilwonseong‒gun(七元星君) in Taoism. There are many reasons behind the strong Taoist tendency in the Buddhist Chilseong religion, such as the abolishment of Sogyeokseo(昭格署), the Big Dipper as the Guardian God(神衆), and the prevalence of the Gwon Sun‒seo(勸善書). 『Taesang Hyeon‒ryeong Bukdu Bonmyeong Yeonsaeng Jin‒Gyeong(太上玄靈北斗本命延生眞經, or Yeonsaeng Jin‒Gyeong)』 reflects well the influence of Taoism on the Buddhist Big Dipper faith. Considering the 『Yeonsaeng Jin‒Gyeong』 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Tjaprabha buddha paintings with the Big Dipper motif, the fusion between Taoism and Buddhism in the Chilseong religion had begun to emerge around the former 18th century and became indistinguishable by the latter part of the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