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룡사 중금당 佛眷屬 16존상의 복원-불제자상,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리고 공양자상- (Restoration of the Figures of Buddha’s 16 Dependents in the Main Hall of the Hwangryongs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12
41P 미리보기
황룡사 중금당 佛眷屬 16존상의 복원-불제자상,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리고 공양자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3호 / 299 ~ 339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이 글은 황룡사 중금당 안에 남겨진 16기 대석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불삼존상 좌우의 10기 대석은 불제자상, 좌우벽 앞의 4기는 금강역사상과 獅子像, 그 앞 공간의 2기는 공양자상의 것으로 상정하였다. 동일한 구성은 통일신라 연기지방의 불비상에도 보인다. 특히 비암사의 673년 癸酉銘 불비상과 蓮華寺 불비상에도 승려상, 금강역사상, 사자상이 함께 등장하며, 689년 己丑銘 불비상에는 불제자상, 금강역사상, 사자상, 궤좌의 공양자상이 모두 등장하고 있어 지금까지 필자의 추정을 뒷받침해준다.
    6세기 후반 황룡사 중금당의 불존상이 조성될 무렵 신라에는 사천왕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7세기 중~후반 사천왕상이 유행하면서 경주에 사천왕사가 등장하고, 감은사사리기의 사천왕상 등이 만들어진다. 사천왕상의 유행과 함께 8세기 중엽의 석굴암에는 사천왕상이 추가된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존상의 가감은 있겠지만 석굴암 안에 불상, 보살상, 불제자상, 사천왕상, 금강역사상, 팔부중 등 여러 존상이 함께 등장할 수 있었던 것도 황룡사 중금당 내 여러 종류의 존상이 연출한 장엄함에 강한 인상을 받은 결과라고 생각한다. 한국에 불교가 유입된 이후 초기의 불교조각은 단독상이거나 삼존상이었다. 이후 불삼존상 이외에 금강역사상이나 사자상, 공양자상과 같은 다양한 불교조각의 존상들이 한자리에 동시에 배치되고 이들이 일체를 이루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 황룡사지 중금당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황룡사의 불교조각이 차지하는 의미는 특별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investigated who are the models of the 16 pedestal bases left in the main hall of the Hwangryong Temple. As a result,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10 pedestal base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uddha’s triad are for figures of Buddhist disciples, the 4 bases in front of the right and left walls for figures of Vajrapani and lions, and the 2 bases in the anterior space for figures of Buddhist offerers. The same composition is shown from the Buddhist stele in the area of Yeon-gi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Especially, the fact that the Buddhist steles made in 673 with inscriptions of the year of the chicken in the Biam Temple, and the one in the Yeonhwa Temple show figures of monks, Vajrapani, and Buddhist offerers, and the other one made in 689 with inscriptions of the year of the ox reveals figures of Buddhist disciples, Vajrapani, lions, and Buddhist offerers together supports the current author’s conjecture.
    There were no figures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Silla toward the time when the figure of Buddha in the Main Hall of the Hwagryong Temple was created in the late 6th century. However, as the figures of the Four Heavenly Kings became in vogue in the mid and late 7th century, the Temple of the Four Heavenly Kings appeared in Gyeongju, and figures like the Four Heavenly Kings on the Sari base in the Gameun Temple were produced. With the figures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fashion, another instance of such figures is added to the Seokgul Temple in the mid 8thcentury. Though there have been addition and elimination of Buddha figures over times, the common occurrences of various figures like those of Buddha, Bodhisattvas, Buddhist disciples, the Four Heavenly Kings, Vajrapani, andthe Eight Kinds of Divine Guardians were the result of the solemnity exerted by the diverse figures in the mail hall of the Hwangryong Temple. The Buddhist sculpture in the early days of Buddhism after it was introduced into Korea showed Buddha’s single figures or Buddha’s triad. The Buddhist sculpture as it is in the Hwangryong Temple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at it was from the main hall of the Hwangryong Temple that the simultaneous array and unification of various figures of Buddhist sculpture including figures of Vajrapani, lions, and Buddhist offerers as well as Buddha’s triad orig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