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의 동아시아적 전개양상으로서의불전재현(佛傳再現)-<三國遺事< 「元曉不羈」조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as an East-Asian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Chapter of Wonhyo’s Unboundedness in the Samguk Yus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0.12
24P 미리보기
불교의 동아시아적 전개양상으로서의불전재현(佛傳再現)-&lt;三國遺事&lt; 「元曉不羈」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8호 / 167 ~ 190페이지
    · 저자명 : 석길암

    초록

    문화접촉에 있어서 타 문화의 수용과 이어지는 토착화의 과정은 일면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불교의 경우 종교라는 특성상 그것은 곧잘 佛傳再現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우리 곁에 왔던 부처’라는 의식을 고양시킴으로써 異文化에 대한 거리감을 상쇄하는 것은 물론, 종교적으로는 교화와구제라는 측면에서 높은 효용성을 보이게 된다. 佛傳再現이라는 문화적 양상은 불교가 전파된 지역에서는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 중의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불전재현의 양상을 간접적 재현과 직접적 재현이라는 두 가지로 나누고, 다시 그 각각의 양상을 中古期와 下古期 初 라는 신라의 특정한 시기의 불교 수용양상을 서로 대비시켜 검토하였다.
    『삼국유사』에서 일연에 의해 ‘聖骨’이라는 키워드로 상징되었던 중고기는 신라사회의 의도적인 불교수용이라는 색채를 강하게 보인다. 이 시기의신라인들이 주목한 것은 佛傳에 나타나는 불교의 종교적 본연의 모습보다는 그에 부수되는 전륜성왕 사상에 주목하였다. 황룡사 장육상 및 구층탑의조성, 伽葉佛宴坐石 설화나 佛緣國土 의식의 고양은 석존의 또 다른 모습으로서 전륜성왕이 강조되고, 그것이 다시 성골왕들과 동일시되었다.
    하지만 「원효불기」조는 불교의 종교적 본연의 모습으로서의 佛傳을 再 現하는 양상을 보인다. 「원효불기」조를 통해서 드러나는 下古期 첫머리의토착화 양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 下古期의 기록들은 국가불교적 성격보다는 개인적 수행과 신앙에 관련된 기사의 비중이 훨씬 더 높다는 특성을 지닌다.
    둘째, 전륜성왕설을 채용하는 기사가 아니라, 佛傳의 직접적인 재현이전기 기술의 주된 내용을 이룬다. 곧 석존에 대한 간접적인 투영이 아닌 직접적 투영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가 수용 단계가 아닌 토착화 단계에 들어섰음을 엿보게 한다.
    셋째, 원효 시대의 승려들은 중고기의 승려들과 비교할 때, 중국 僧傳의재현양상 혹은 연관성이 더 빈도 높게 나타난다. 「원효불기」조는 불전의 재현만이 아니라 중국의 유명한 고승들(구마라집․정영사 혜원)과 대비되고 있으며, 동시대의 인물인 부궤화상 혜공의 경우는 중국 승려 僧肇의 후신을자처하고 있는 것은 그러한 예의 하나일 뿐이다.
    넷째, 「원효불기」조가 대중교화를 강조하듯이 하고기의 첫머리에 이름을남긴 승려들은 중고기의 승려들과는 달리 왕실 혹은 정치사회적 행보보다는, 수행과 대중교화라는 부분에 전기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왕조시대라는 특성상 왕실과의 관계를 주목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원효 시대의 승려들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은 왕실과 관련되는 사항일지라도 정치적의미보다는 불교 그 자체의 종교적 의미에 더 초점을 두어 기술되고 있다.

    영어초록

    In a cultural contact, the process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indigenization is a natural phenomenon, which often appears in the case of Buddhism as a religious tradi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This re-presentation enhances the consciousness of the ‘Buddha who have come near us’, thus counterbalancing cultural distance and seeking effectiveness in religious edification and salvation.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as a cultural process appears as a natural phenomenon in any region where Buddhism is transmitted.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assimilation process of Buddhism in the middle ancient and last ancient periods of the Silla dynasty, dividing the featur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according to direct re-presentation and indirect re-presentation.
    Symbolized as the period of ‘holy bones’(聖骨) in Ilyon’s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middle ancient period shows the features of the intentional assimilation of Buddhism in the Silla society.
    The Silla people in this period paid attention rather on the accompanying thought of a wheel-turning sage king than on the proper hagiography of Buddha in its religious dimension. The construction of the giant golden Buddha statue and the nine-story pagoda in the Hwangryongsa temple, the legend about the stone for Sitting Kassapa Buddha, and the enhance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country in relation with Buddha emphasize the wheel-turning sage king as another feature of the Buddha, which in turn comes to be identified with the Silla kings of holy bones.
    However, the chapter of Wonhyo’s Unboundednes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as a proper feature of Buddhism as a religi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genization of Buddhism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ancient period of Silla dynasty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 according to the chapter of Wonhyo’s Unboundedness.
    First, the recordings at the last ancient period in the Samguk Yusa are heavily focused rather on individual practice and faith than on national features of Buddhism.
    Second, not relying on adopting the legend of the wheel-turning sage king, the direct re-presentation of the hagiography of Buddha forms the main content of the biographical writings. That is, not indirect but direct reflection of Buddha is attempted, which suggests that this period might be already considered as the period of not reception but indigenization.
    Third, in comparison with monks of middle ancient period, the monks of Wonhyo’s period show more frequently their relatedness with the biographies of Chinese monk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m. To illustrate, the chapter of Wonhyo’s Unboundedness not only re-presents the hagiography of Buddha but also shows some features that might be compared with famous monks of China (for example, Kumarajiva and Jingyingsi Huiyuan 淨影寺 慧遠), while the monk Hyegong (惠空), famous for his carrying a straw basket on his back, is said to have considered himself as the reincarnation of the Chinese monk Sengzhao (僧肇).
    Fourth, as the chapter of Wonhyo’s Unboundedness emphasizes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e famous monks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ancient period, in comparison with the monks at the middle ancient period with their orientedness toward courtly or politico-social engagement, focus their attention on practice and edification of the people in their biographies.
    While their relation with the court should also catch our attention as all those periods belong to the kingly stage, the recordings on monks of Wonyo’s period in the Samguk Yusa are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not in their political context but in their Buddhist or religious context even in facts related with the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