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중 무상 인성염불의 증입원리 고찰 (for 「A consideration for enlightenment principle of INSEONGYEOMBOOL(引聲念佛) by Jungjung(淨衆) Moosang(無相))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정중 무상 인성염불의 증입원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54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이병진

    초록

    정중 무상은 홍인-지선-처적으로 이어지는 초기 선종 검남파(劍南派) 계통의 전승자로서 두타행(頭陀行), 신이(神異), 인성염불(引聲念佛)로 대중의 신망을 받으며 중국 당(唐) 성도부(成都府) 일대에서 정중종(淨衆宗)의 선풍을 드날린 초기선종계의 거장이다. 정중 무상의 핵심법문인 ‘삼구법문(三句法門)’은 그와의 사법(嗣法)을 자처한 보당 무주 계통의 역작인『역대법보기』를 통해서 소개되고 있었지만 그 자체는 보당 무주에 의해서 왜곡되어졌다.
    무상의 삼구법문은 ‘인성염불’이라고 하는 염불행법을 기반으로 하는 법문이기 때문에 그의 삼구법문에서 막망(莫忘)은 존상(尊像)의 모습 내지 그에 상응하는 지혜를 잊지 말라는 의미로 보는 것은 타당한 인식이 된다. 따라서 정중 무상 삼구법문의 결구는 막망(莫忘)으로서 『원각경대소초』에서 규봉 종밀이 제공한 해설처럼 ‘지나간 일을 추억하지 말고(無憶), 다가올 일을 염려하지 말며(無念), 다만 그와 같은 지혜를 잊지 말 것(莫忘)’의 의미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중 무상 선법(禪法)의 중심은 보당 무주가 추종한 바 있는 육조 혜능 계통의 ‘무념(無念)’이 아니라 동산염불문선종(東山念佛門禪宗)과 검남파(劍南派)를 통해 전해진 염불선(念佛禪)전통에 의한 ‘염불일념(念佛一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ungjoong Musang is the great Chan master of Early Chan Order in China who had promulgated Chan character of JUNGJOONGJONG(淨衆宗) around Chungdu, the capital city of TANG(唐) period in China. He was also one of the heirs of early Chan order, GUMNAMPA(劍南派) which has been followed by Hongin(弘忍)-Jisun(智詵)-Chujuck(處寂), receiving huge faith of people by Dootahang(頭陀行), the Buddhist's heritage patience practice, supernaturalness, and INSUNGYEOMBOOL(引聲念佛), the Buddha remind practice as chanting melisma style. ‘SAMGOOBUPMOON(三句法門)’ the three word of his main philosophy, was introduced in 『Yeokdebubbogi』, known as the tenacious work of party belonged Bodang Moojoo who remarked that he was the heir of Jungjoong Moosang, but it was distorted by Bodang Moojoo himself. Among three words preception of Jungjoong Moosang, Makmang has been Known as it means not getting wrong ideas(莫妄) but they noticed academia that it means not forgetting(莫忘). As the three words of Jungjoongmoosang are based on the chanting practice of INSUNGYEOMBUL, it would be quite valid that Makmang(莫忘) means not forgetting Buddha’s shape or Buddha’s wisdom. Therefore, it would be advisable that the last word among three words instruction of Jungjoong Musang is Makmang, which means not looking back the past, not imagine of the future but just do not forgetting the wisdom like kyubong Jongmil’s interpretation.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practicing method of Jungjoong Moosang is ‘reminding Buddha as calling Buddha’s name(稱名念佛)’ or ‘reminding Buddha as chanting Melisma style(引聲念佛)’ as it is written in 「Musang’s poet of Five night time(無相五更頌)」, 『Great expression of Sutra for perfect enlightenment(圓覺經大疎鈔)』. Therefore the focus of Jungjoong Moosang’s Chan method is not ‘MOONYEOM(nothing idea;無念)’ from Yookjo Hyenung which Bodang Moojoo ever traced but it is on ‘YUMBOOL ILRIOM(念佛一念;only idea for Buddha) by heritage of ‘YEOMBOOLSEON(念佛禪)’ which released through ‘DONGSANYEOMBOOLMOON CHANORDER(東山念佛門禪宗)’ and GUMNAMP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