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史記』 地理志의 原典과 撰述에 대한 考察 -高句麗志와 百濟志, 三國有名未詳地分條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and compilation of the Samguksagi’s Jiriji -focused on the Goguryeoji and Baekjeji, Record of Three Kingdoms unknown-place nam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4
42P 미리보기
『三國史記』 地理志의 原典과 撰述에 대한 考察 -高句麗志와 百濟志, 三國有名未詳地分條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10호 / 127 ~ 168페이지
    · 저자명 : 전덕재

    초록

    본 논고는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백제지 및 三國有名未詳地分條의 원전과 찬술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지리지의 찬자는 고구려지 서문을 찬술하면서 『新集』과 다른 고구려 자체의 전승자료를 활용하였고, 백제지 서문에서 중국 사서에 전하는 기록을 인용하여 백제의 지리적 위치를 설명하였으며, 중국과 국내의 여러 史書에 전하는 기록을 참조하여 백제의 천도 현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신문왕 9년(689)에서 성덕왕대 전반 사이에 고구려와 백제의 지명에 대해 정리한 저본자료를 고구려·백제지의 기본 골격으로 삼은 다음, 고구려지에 경덕왕과 헌덕왕대, 태봉에서 새로이 편제한 군·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이어 다양한 전승자료에 전하는 지명의 異稱이나 別稱, 異表記 등을 細注로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신라지에 奈靈郡이 본래 百濟 奈已郡이었다고 전하는 사실을 참조하여, 백제지의 말미에 奈已郡을 추가로 첨입함으로써 고구려·백제지를 완성하였다. 한편 지리지의 찬자는 법흥왕대 이전 기록에 보이는 三國有名未詳地分條의 신라지명은 주로 『國史』를 기본원전으로 하는 『구삼국사』의 신라 기록과 내용이 거의 비슷하면서도 편년적 체계를 갖춘 전승자료에서, 중고기 이후부터 경순왕대까지의 기록에 전하는 지명은 실록류의 어떤 사서에서 인용하여 소개하였고, 『新集』을 기본원전으로 하는 어떤 전승자료와 『구삼국사』 고구려 기록에 전하는 고구려의 지명, 『구삼국사』 신라 기록 및 『자치통감』, 『신당서』 등의 중국 사서에 전하는 고구려지명을 三國有名未詳地分條에 제시하였다. 또한 『구삼국사』 백제 기록에서 그 위치를 詳考하기 어려운 백제지명들을 추려서 三國有名未詳地分條에 소개한 다음, 古記類와 신라측의 전승자료, 중국 사서에 전하는 백제지명 가운데 그 위치를 詳考하기 어려운 것들을 찾아 추가하여 소개하였으며, 이어 여러 지방의 읍지류와 고기류, 다양한 전승자료에 전하나 그 위치를 詳考할 수 없는 지명들을 인용하여 三國有名未詳地分條를 완성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al text and the compilation process of Goguryeoji and Baekjeji, Record of Three Kingdoms unknown-place names in the Jiriji(geographic guidebook) of Samguksagi. In the preface of Goguryeoji, the editor of Jiriji used Goguryo's traditional material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ones used to write Sinjib. In the preface of Baekjeji, they explained the location of Baekje by using Chinese history books as references and further described the transfer of Baekje’s capital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Chinese history books. Furthermore, they wrote Goguryeoji and Baekjeji based on the source materials about Goguryeo and Baekje's place names of between King Sinmoon's 9th year(689) and the King Seongdeog's reign. They added information about Guns and Hyeons that were newly 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g and Heondeog, the Taebong era. As detailed comments, they also presented the different place names that were passed down through various traditional materials. Finally, the editor, by referring to Sillaji which stated that originally Naryeong-gun was Baekje Nai-gun, added Nai-gun at the end of Baekjeji, there by completed Goguryeoji and Baekjeji. Meanwhile, in Record of Three Kingdoms unknown-place names, the editor of Jirij introduced place names of Silla which appeared in the records written before the reign of King Beobheung, by using traditional materials that were written as linear history, and Old-samguksa, which was written based on Guksa. Furthermore, by quoting some history books, they introduced the place names which was mentioned in the records from the Middle Ancient Period to the period of King Gyeongsun's reign, and presented place names of Goguryeo that appeared in Old-Samguksa or some traditional materials written based on Sinjib. And the editor presented place names of Goguryeo that appeared in Chinese history books. Furthermore, in Record of Three Kingdoms unknown-place names, the editor introduced the place names of Baekje appeared in Old-samguksa, which were difficult to be estimated. They added other place names of Baekje which were passed down in the Chinese history and Silla’s traditional materials. Similarly, their locations were unknown, too. Finally, they completed Record of Three Kingdoms unknown-place names by quoting the place names whose locations were completely unknown that were passed down on the town chronicles, ancient history, and several transmitted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