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15세기 ‘地理志’에 기재된 道 分定 磁器의 성격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based on province as written in Joseon fifteenth-century geography book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11
29P 미리보기
朝鮮 15세기 ‘地理志’에 기재된 道 分定 磁器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42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권혁주

    초록

    15세기 국가주도로 편찬된 관찬지리지는 편찬 시기에 따라 산물들이 편제된 항목과 내용이 차이가 있다. 磁器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 군현의 토산(토산공물)항, 혹은 각 도의 궐공항에 다른 산물과 함께 기재되어 있거나, 각 군현 항목 말미에 魚梁·鹽 場·鐵場 등의 예와 같이 생산처인 磁器所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재방식의 추이는 조선 개국 후 지속적으로 정비되었던 공납제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지리지마다 자기와 관련한 내용이 다르게 편제된 이유, 그리고 이를 기초로 『세종실록』 지리지의 각 도의 궐공항에 있는 ‘자기’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검토해보았다.
    자기가 기재된 산물항의 변동은 공납으로 수취되었던 자기의 성격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있다. 그 원인은 각 군현에서 공납으로 납부되었던 자기의 생산과 수요의 변화가 지리지에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의 수찬자들은 각 도의 궐공항에 산물을 기재함에있어 ‘每邑所産’의 서술규식 이외에 산물의 특성과 지역성 등을 고려하여 ‘道단위의 分定’ 을 원칙으로 하였다. 특히 각 도 궐공항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안도와 함길도는 진상자기가 분정되지 않았던 반면, 경기도와 충청도, 황해도와 강원도, 전라도와 경상도는진상자기가 분정되어 있었다. 이를 규명한 것은 이 논문의 주요 성과라 하겠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기존 연구에서 한결같이 주목해왔던 ‘進上用 白磁와 貢納用 粉靑 沙器’라는 이원적 해석에 의문을 가지고,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진상백자에 대한 성격과실례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행연구자들이 언급한 진상백자의 성격은 국왕을 비롯한왕실구성원이 사용한 자기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본 글에서 규명한 각道에 분정된 진상자기의 성격과는 부합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각 道단위로 분정된 진상자기의 실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목되었던 ‘進上用 白磁와 貢納用 粉靑沙器’라는 이원적 해석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살펴보기 위한 과정에서 진상과 공납제를 이원화하는 시각보다는, 공납제 아래에서 수취된 진상과 공물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Gwanchan geography books (geography books written or commissioned by the state) of the fifteenth century show differences in the table of contents and products depending on the period of compilation. Porcelain is no exception, and it is listed together with other products among the local product items (for tributes) of each county, among the items for missed tributes of each province, or at the end of an item for each county.
    Porcelain is listed in terms of the location where it is produced, as in the cases of weirs, salt pans, and iron foundries. The changing trend of such a system is in line with the tribute system, which was continuously improved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porcelain were organized differently in each geography book, and,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porcelain” among the items for missed tributes in each province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was reviewed.
    Changes in the product item where porcelain is listed 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given as a tribut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demand for porcelain, which was given as a tribute in each county, were reflected in geography books. In addition to the descriptive rule of “produced in each village,” the writers of The Veritable Records followed the principle of “allocation by provin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products when listing the products among the missed tribute items for each province.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missed tribute items of each province show that Pyeongan and Hamgil provinces were not assigned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while Gyeonggi, Chungcheong, Hwanghae, Gangwon,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were. Identifying this was the main achievement of this paper.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whit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with questions about the dubious interpretation of “white porcelain as a gift and Buncheong porcelain (bluish-green stoneware) as a tribute,” which has been consistently remarked upon in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mentioned by previous studies were included within the limited scope of porcelain used by the king and othe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did no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signed to each province as identified in this paper.
    Therefore,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signed to each province later, the vague interpretation of “white porcelain as a gift and Buncheong porcelain as a tribute,” which has been consistently noted so far, needs to be reexamined.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eived gift and as an offering under the tribute system, rather than the dualistic view of dedication to the king and the tribut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