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Archive and Dead Drive : Derrida and Psychoanalysi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11
26P 미리보기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9권 / 3 ~ 28페이지
    · 저자명 : 조선령

    초록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현상으로서의 이른바 아카이브 아트가 사용하는 전략에 주목하면서 관료주의 문서고로서의 근대적 아카이브와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되는 탈근대적 아카이브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살펴본다. 현대미술에서 아카이빙 경향에 대한 전시들을 기획한 큐레이터 오쿠이 엔위저와 동시에 아카이브 아트에 대한 비평가 할 포스터의 글을 분석한 뒤, 이 글들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는 논의로 『아카이브 병』에 개진된 데리다의 이론을, 특히 정신분석학과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프로이트에 대한 라캉의 해석과 데리다의 해석이 서로 구별되는 가운데에서도 매우 유사한 지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프로이트의 죽음충동 개념과 원초적 아버지 가설을 경유하여, 데리다와 라캉은 환상 혹은 허구를 경유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 아카이브를 연구하면서 프로이트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려는 예루살미의 열망, 고대의 폼페이를 직접 경험하려는 고고학자 하르놀트의 망상은, 아카이브 너머에 있는 아카이브의 출처 혹은 근원을 아카이브 그 자체와 일치시키려는 ‘아카이브 병’의 대표적인 사례이면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알려주는 지표들이다. ‘유령으로서의 진리’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에 대한 열망 없이는 어떠한 아카이브도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카이브 병은 단지 아카이브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아카이브 그 자체를 추동하는 원리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는 근대적 아카이브의 외부에서 새롭게 구축된 것이 아니라 근대적 아카이브의 핵심에 이미 존재했던 ‘유령과 같은 토대를’ 가시화한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늘날 다양한 예술실천들 중에서, 근대적 아카이브 속에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죽음충동’을 간파하고 그것을 가시화하는 작업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면서, 아우구스트 잔더의 작업과 베른트 & 힐라 베허의 작업 사이의 관계를 그 사례로 제시한다.

    영어초록

    In this essay I want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odernist archive regarded as bureaucratic files of documents and post-modernist one regarded as a kind of aesthetic practice. After reviewing texts on contemporary ‘archive arts’ by curator Okwui Enwezor and critic Hal Foster, I try to analysis Jacques Derria's Mal d'archive, in the light of its connection to Lacan's psychoanalysis, by focusing on his criticism on Yerusalme's book on Freud as well as his review on Freud's text about Jensen's novel Gradiva.
    I suggest that Lacan's interpretation on Freud shares unexpectably common characters with Derrida's. By referring to Freud's concepts of dead drive and Primal Father, both Derrida and Lacan argue that the truth ironically emerges through ‘spectre’ or ‘fiction’. Aspiration of Yerusalme to hear Freud's voice directly and delusion of Harnolt (the protagonist in Gradiva) to experience ancient Pompeii by himself, are typical examples of ‘archive fever’ locating the paradoxical truth. In the archive without archive, the spectral truth comes to exist, according to Derrida. The archive fever not only destroys archives but also cause them.
    In conclusion, I argue that post-modernist archive is equivalent to visualized ‘spectral’ base of modernist one. In addition, I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August Sander's works and Bernd & Hilla Becher's as an good example of art practice recognizing and visualizing death drive in the modernist arch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