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쇄살인의 정신분석학적 이해와 형법학적 고려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Serial Murder and Criminal Law Consideration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6
53P 미리보기
연쇄살인의 정신분석학적 이해와 형법학적 고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24권 / 4호 / 109 ~ 161페이지
    · 저자명 : 박민정

    초록

    연쇄살인에 대한 논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정 신구조의 차원에서 그들을 이해해 보려는 노력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연쇄살인의 가시적인 현상이 보여주는 잔혹함에 매료되어, 그러한 현상적 인 차원의 거울로만 연쇄살인범을 비추어봄으로써 비난의 목소리만을 부추길 뿐, 그들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해보려는 자세를 가지지 못한 데에서 나타난 안 타까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인 시선 못지않게, 연쇄살 인범에 대한 현행 (형)법의 기본 입장 또한 강한 응보주의적인 태도를 일관되게 고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연쇄살인범을 단순히 사형을 받아 마땅한 괴물이기 이전에, 일반 적인 다른 범죄자들과 다른 차원의 공격성을 지닌 인간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실재적 공격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재적 공격성의 발현 으로서의 ‘도착증적인 정신구조’에 대한 논의를 해봄으로써, 연쇄살인범이 ‘법을 대하는 적대적 태도’와 그들의 ‘연쇄성’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 다. 더 나아가 ‘도착증’이라는 렌즈를 통해 연쇄살인범을 바라보면, 그들은 비록 자신의 행위가 갖는 불법성을 인지적으로 인식할 수는 있지만, 법규범을 내면화 하지 못하는 도착증적인 장애로 인해 일반인과는 다른 고유한 정신구조를 띄게 된다. 이러한 도착증적인 정신구조에 대한 형법적 고려로서 세 가지의 법적 문제 를 제기해 보고자한다. 먼저, 이러한 도착적인 정신 구조로 인해서, 연쇄살인범의 ‘책임능력’에 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특히 불법을 범하지 않 을 ‘의사결정능력’에 흠이 있는 지 여부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법률의 착오’ 문 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도착증’에 대한 라캉의 해석을 보면, 연쇄살인범은 법규 범의 존재 또는 그 효력에 대한 인지상의 부지가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근 원적인 차원에서 법의 구조를 내면화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법률의 부 지’ 또는 ‘효력의 착오’에 관한 문제가 등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라우마 이 론을 통한 ‘양형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연쇄살인범 의 양형책임을 하는데 있어서, 현재 법원실무상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않는 ‘형법 제51조’의 고려사항으로서, ‘도착증적인 정신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과연 연쇄살인범의 자기책임은 어느 정도로 존재 하는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 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discussion of serial murder is a long-standing topic, efforts to understand them in terms of the underlying mental structure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t is fascinated by the brutality of the visible phenomena of serial murders, and it is sad to see that they only provoke the voice of blame by looking at the serial killers only with such a phenomenal mirror, and that they do not have the attitude to try to truly understand them. And as much as this social gaze and the public’s attention, the basic position of the current (criminal) law on serial killers also consistently adheres to a strong retributive attitude.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serial killer as a human with a different level of aggression from other criminals in general, and discuss this ‘real aggression’ before being a monster deserved to simply be executed. In addition, by discussing the ‘perversion’s mental structure’ as the manifestation of this real aggression, I would like to try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erial killer’s ‘hostile attitude toward the law’ and their ‘seriality’.
    Furthermore, when looking at a serial killer through a lens of ‘perversion’, they can recognize the illegality of their actions cognitively, but because of a disorder called ‘perversion’ that does not internalize the laws and regulations, they has a unique men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 would like to raise three legal issues as a criminal consideration for this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First of all, because of this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the issue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a serial killer may be raised, and here we especially examine whether there is a flaw in the “decision-making ability” that unwilling to commit illegality. Next, I would like to raise the question of ‘Mistake of Law’. Looking at Lacan’s interpretation of ‘perversion’, serial killers are not concerned with a matter of cognitive ‘ignorance of law’ - ignorance for the existence or effect of legal norms- , but at a more fundamental level, the question of ‘Ignorance of Law’ or ‘Mistake of effect’ may arise, which may arise from the failure to internalize the structure of the law. Finally, I would like to propose a discussion on ‘sentencing responsibility’ through trauma theory. Here, in regard to the sentencing responsibilities of serial killers, as a consideration of ‘Article 51’ of the Korean Criminal Code, which is not currently actively applied in court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much self-responsibility of serial killers exist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