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강 하류 분구묘 분포권의 주거와 취락 위계 (Hierarchy of Dwellings and Villages Within the Range of the Mounded Tomb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한강 하류 분구묘 분포권의 주거와 취락 위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98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송만영

    초록

    한강 하류의 분구묘 집단을 유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구묘 무덤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주거와 취락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강 하류 분구묘 분포권 내 주거의 계층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취락의 위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강 하류 분구묘 분포권 내의 주거는 필자 편년의 Ⅲ-2기와 Ⅳ기에 출현하는 중도식 주거지를 제외한 93% 가량이 (장)방형계이며, 이 가운데 사주식 주거지는 장단비 1 : 1.3 이하의 방형 주거지에서만 관찰된다.
    주거지 규모는 5그룹으로 세분되는데, 이 가운데 대형과 초대형 주거지에서는 기와, 전돌, 아궁이장식, 철정, 꺾쇠와 같은 건축 부재가 집중되며, 대옹과 같은 토기 기종이 출토되는 비율이 높고, 이형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상위 또는 중위 계층과 관련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이보이지 않는 소형과 중소형, 중대형 주거지는 하위 계층에 속하는 가구 구성원의 규모를 반영한다. 또한상위와 중위 계층은 철기 및 토기와 같은 수공업 생산에 관여하였다.
    한강 하류의 취락은 3등급의 사회적 신분이 관찰되는 상위 취락(읍락 중심촌)과 2등급의 사회적 신분이 관찰되는 중위 취락(촌락 중심촌 내지 촌), 그리고 계층성이 확인되지 않은 하위 취락(소촌)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이형토기가 출토된 읍락 중심촌과 촌락 중심촌의 수장은 독립된 단위의 공동체 의례 주관자로 생계경제적인 측면과 이념적 측면에서의 권력 기반에 더하여 무력과 대외 교섭 기반을 가진 인물로 생각된다.
    한편 4세기 전반 이래로 한성기 백제 중앙의 지방 지배가 본격화 되면서 한강 하류의 취락에도 변화가 보이게 된다. 특히 경기 북부의 파주, 고양 지역에서는 대옹 전용 가마와 저장 전문 유적과 같이 곡물의 집하 거점과 관련된 취락들이 상위 취락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dwellings’ hierarchy within the range of the mounded tomb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and examined the hierarchy of villages based on this. About 93% of dwellings within the range of the mounded tomb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is square, except for Jungdo type dwellings that appear in phase the III-2 and IV based on the author’s chronological order. Among them, four columnar dwellings are observed only in rectangular dwellings with a short-to-long ratio of 1:1.3 or less.
    The size of the dwelling is divided into five groups. Among them, large and super-large dwellings relate to the upper or middle class. This is because rare construction materials are concentrated in these dwellings, and earthenware such as big jars (KR. Daeong) is highly excavated, and heterogeneous earthenware is intensively excavated. Small, medium, and medium-sized dwellings that do not show this pattern reflect the size of household members in the lower classes. In addition,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were involved in hand-made production such as iron and earthenware.
    The settlement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upper village where three classes of social status are observed (euprak -centered village), a middle village where two classes of social status are observed (chollak -centered village), and a lower village where hierarchy is not confirmed (small village). Among them, the heads of the upper and middle villages, where heterogeneous pottery was excavated, is considered the organizer of community rituals of independent units, with a base of force arms and foreign negotiations and the base of power in terms of livelihood economy and ideology.
    Meanwhile, since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as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has been in the central government's full-fledged local control, and the village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has also changed. In particular, in Paju and Goyang area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villages related to the grain collection base, such as kilns that only made big jars and sites specializing in storage, rapidly emerged as upper vill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