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강 하류 분구묘 부장 토기의 변화와 의미 (The Change and Meaning of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Lower of the Han Rive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2
33P 미리보기
한강 하류 분구묘 부장 토기의 변화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11권 / 111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송만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강 하류, 지금의 인천, 김포, 파주, 시흥 등에 분포한 원삼국~삼국시대 분구묘부장 토기를 편년하고 이를 통해 토기 부장 정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3~4세기대 한강 하류 분구묘와 한강 중류의 석촌동 고분군과의 부장 토기 비교를 통해 부장 전통의 친연성에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강 하류 분구묘 및 목관⋅목곽묘 부장 토기는 원저단경호의 형식 변화와 타 기종과의 시간상 병행 관계를 기준으로 5단계로 세분하였는데, 한강 하류 분구묘 Ⅰ기(2세기 중엽~후엽)는 원저단경호만이 부장되는 단계, 한강 하류 분구묘 Ⅱ기(3세기 전엽)는 백색토기 옹, 원저소호, 단경평저호, 소호 기종이 처음 부장되는 단계, 그리고 한강 하류 분구묘 Ⅲ기(3세기 중엽~후엽)는 직구평저호와 완이 추가 부장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또한 한강 하류 분구묘 Ⅳ기(3세기말~4세기 초)는 완의 부장 사례가 증가하고 이중구연호, 단경호, 합 기종이 새로운 부장되는 단계이며, 마지막 한강 하류 분구묘 Ⅴ기(4세기 전엽~말)는 이전의 원저단경호, 완, 단경호 기종과 함께 직구단경호가 부장되는 단계이다. 한강 하류의 토기 부장 정형은 특정 기종의 세트 부장이 확인되지 않으며, 토기의 복수 부장도Ⅲ기 이후에야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경기 남부 주구토광묘 토기 부장 정형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Ⅲ기의 토기 부장 정형은 석촌동 고분군 하층 토광묘 단계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원저단경호, 단경평저호, 직구평저호 등의 부장 토기 기종에서도 공통점이 발견되기 때문에 토기 부장 전통을 서로 공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Ⅳ기 이래로 한강 하류에서는 이중구연호가 집중적으로 부장되는 등의 변화가 보이며, 석촌동 고분군에서는 백제 국가의 출현과 함께 새로운 묘제가 등장하고 백제토기가 부장되면서 독자적인 토기 부장 전통을 보이기 때문에 두 지역의 토기 부장 전통은 점차적으로 분리되어 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of the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lower of the Han River from Proto-Three Kingdoms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onsider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ed pattern of earthenware through the chronology. The paper also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loca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by comparing Bungu Tombs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with Seokchon-dong burial sites in the middle part of the Han River.
    As a result, the paper divides the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downstream of the Han River and wooden coffin &wooden chamber tombs into five stages based on the formal change of round-based jar with a short neck, and parallel temporal relationship with other types of earthenware. They are as follows: stages I(the mid-to-late 2nd century), stage II(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stage III(the mid-to-late 3rd century), stage Ⅳ(late 3rd to early 4th century), stage Ⅴ(first half to end of the 4th century).
    The burial pattern of earthenwar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differs from that of earthenware from Pit-tombs with ditch southern Gyeonggi, given that burial of certain types of earthenware in a batch has not been identified, and that multiple burials of the earthenware have only begun after the stage III. This earthenware burial pattern in the third phase is similar to the pit tombs in the lower level of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and standard features are also found in the buried earthenware type. It also noted the alliance relations between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loca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s a background of sharing this tradition of earthenware burial.
    Since stage IV, new tombs in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have emerged, and Baekje earthenware has been buried, establishing its tradition of earthenware burial.
    However, they seem to have tried to strengthen their ties with Mahan forces in southern Chungcheong Province, given that the Pottery with the two-fold mouth was intensively buri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his aspect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conflict and rivalry between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in the Han River's middle and lower reaches. However,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which was the stage V, the Bungu Tomb is observed to be disappearing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which was the result of Baekje's territorialization of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 trade gateway with China, for trade with China during its grow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