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작가들의 소설을 통해 본 북한에서의 ‘시장 경쟁’ -김유경, 설송아, 그리고 도명학의 작품을 중심으로 (Market Competition since the Mid-1990s in North Korea Depicted in North Korean Defectors’ Literary Work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탈북작가들의 소설을 통해 본 북한에서의 ‘시장 경쟁’ -김유경, 설송아, 그리고 도명학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8호 / 215 ~ 246페이지
    · 저자명 : 배개화

    초록

    이 논문은 김유경, 설송아, 그리고 도명학의 소설들을 중심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북한의 자생적 시장화와 그에 따른 ‘시장 경쟁’의 여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사회주의 체제는 생산수단을 국유화하고 모든 생산을 국가가 계획하여 주민들이 필요한 만큼 공급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에서 볼 수 있는 시장에서의 경쟁적인 사고팔기가 없다고 말해진다. 그런데, 1990년 중반부터 북한의경제 위기는 아래로부터의 시장화를 촉발하였다. 국가의 배급이 끊어지자 북한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자발적으로 시장에 참가해서 생필품을 구하였으며 사적 시장은 전국으로 퍼졌다. 이에 대응하여 북한당국은 암묵적으로 시장 경제를 허용하면서도 공식적으로는 ‘사회주의 강성대국’의 건설을 주장하면서 2008년부터 ‘천리마운동’ 그리고 2016년부터는 ‘만리마 운동’의 깃발 하에 주민들을 대규모로 노력 동원하였다. 반면에 탈북작가들은 자신의 소설에서 북한 주민들이 직면한 시장 경쟁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논문은 김유경의 청춘연가 (2012), 설송아의 「진옥이」(2015), 그리고 도명학의 「재수 없는 날」(2018), 「거미줄철도」(2021), 「황해도 데미지」(2022)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 간의 경쟁, 즉 장마당 상인들 간의 경쟁, 돈주 (상업 자본가)와 중간 도매상 간의 경쟁, 그리고사노동 시장 노동자들 간의 경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북한 주민들이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장 적응력이 필요하고, 돈주가 시장에서 가장 큰 경쟁력과 지배력을 갖고 있으며, 경제적 피라미드의 하층에 가까울수록 시장 경쟁에서의 패배는 곧 생존 자체의 위기로 귀결됨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이상의 소설들이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시장 경쟁’을 묘사함으로써 여전히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을 주장하는 북한당국의 공식 담론에 도전하는 동시에, 현재 북한 주민이 겪고 있는 경쟁과 동원의 이중고를 폭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Socialism means that the production tools is belonging to the stat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aily necessities needed by the people are planned and done by the state. Therefore, there is no competitive buying and selling for profit as seen in a capitalist society. However, marketization from the below due to North Korea's economic crisis from the mid-1990s has caused competition among market agents. Recent North Korean defectors' literary works vividly show the whole façade of market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competitions between various market agents such as donju [commercial capitalists], wholesalers, retailers, and private labors. This essay, based on analyzing the works of Kim Yu-kyeong, Do Myeong-hak, and Seol Song-a, sheds lights on three aspects of market competition in North Korea: the competition between retailers in marketplaces, the competition between commercial capitalists and small and medium-sized wholesalers, a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 private labors. This essay concluded that commercial capitalists are the most competitive and dominant agents in the current North Korean market system and that among the participants in market competition the lower layer in the economic pyramid has more possibility of defeat in market competition, which finally leads to the crisis of their survival. Previous researches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these aftereffects of North Korea’s marketization. Contrarily this essay offers a clue to more vivid understanding of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and new challenges faced by North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