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우 전쟁과 러·북 밀착 관계가 한·미·일 삼각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The impact and implications of the Russia-Ukraine war and the deepening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on the South Korea-U.S.-Japan strategic triangl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5.03
31P 미리보기
러-우 전쟁과 러·북 밀착 관계가 한·미·일 삼각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평화학연구 / 26권 / 1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장석준

    초록

    러-우 전쟁에 따른 러·북 밀착 관계는 국제질서 및 한반도 지역균형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하며 한·미·일 전략적 삼각관계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러-우 전쟁 발발 이후 러·북 간 국가이익(national interest) 일치는 양국의 관계 발전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한반도와 한국, 일본을 비롯한 역내 국가들의 안보위협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결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러·북 밀착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전략성이 강화되면서 한·미·일 3개국의 공조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대한 두 가지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고, 로웰 디트머(Lowell Dittmer)의 전략적 삼각관계의 이론적 관점으로 가설을 검증 및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요한 점은 한반도 변화에 핵심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국가인 한국과 일본은 북한과 러시아와의 밀착 관계로 인한 대외적 불확실성이 더 높아진 상황에서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립적 관계에서 벗어나 전략적인 관계 재정립에 나섰다. 즉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관계는 한·일 양국의 안보 불안정성을 증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러·북 밀착 관계에 따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관계를 중시하는 전략적인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이들의 관계는 우호적으로 변화하였다. 나아가 이는 구조적 측면에서 기존 로맨틱 삼각관계의 한·미·일 삼각관계를 삼자공존관계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은 2022년 2월 발발 이후 3년을 넘긴 러-우 전쟁과 그에 따른 러·북 간 관계 심화에 대한 동향을 지속적으로 분석 및 수집하여 이러한 안보위협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deepening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in the wake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is trigger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regional bala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driving changes in the South Korea-U.S.-Japan strategic triangle. Since the outbreak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the convergence of national interest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which has increased the potential for security threats to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including South Korea and Japan. According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strengthened strategicity of both South Korea and Japan, which are directly affected by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i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is bound to lead to trilateral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wo research hypotheses in response to these arguments, and uses Lowell Dittmer's theoretical perspective of the strategic triangle to test the hypotheses and fulfill the research objectives.
    As a result, The main finding is that South Korea and Japan, as key and directly affected countries by the change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moved from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o a strategic one in order to respond to security threats in the face of heightened external uncertainty caused by the evolving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In other words, while the evolving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acted as a factor that increased security instability in South Korea and Japan, their relationship became friendly as they shifted to a strategic stance that emphasized bilateral relations in order to respond to the threats posed by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Furthermore, it can be seen as a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romantic triangle into a trilateral coexistence relationship.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continue to analyze and collect trends on the Russian-Ukrainian war, which has been over three years since its outbreak in February 2022, and the subsequent deepening of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to respond to these security threa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