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官北里 百濟遺跡의 性格과 時間的 位置 -2008년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Temporal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ekje Remains in Gawnbukli Buyeo)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0.02
40P 미리보기
百濟 官北里 百濟遺跡의 性格과 時間的 位置 -2008년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51호 / 103 ~ 142페이지
    · 저자명 : 남호현

    초록

    관북리 백제 유적은 사비기에 조성된 대규모의 성토대지를 경계로 크게 상하 두 개의 생활면으로 구분되며 이와 같은 대지조성 양상은 왕궁중심영역의 확대 내지는 재정비와 연관지어 해석되고 있다.
    관북리 바지구 조사에서는 저습지를 메워 생활공간을 확대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습지에 조성된 매축지의 끝에서 축대와 담장렬이 발견됨에 따라 이 지역을 왕궁의 북서편 경계로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매축지내 1차 생활면 및 관련유구에서는 이 일대의 대지 조성시기에 대한 주요 편년자료로서 인식되고 있는 ‘꺾임반전형 수막새’가 다수 수습되어 주목되는데 동일 형식의 수막새가 일괄수습 되었다는 것은 이 일대의 대지 조성 작업이 일정한 시간적 범위내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되나 수막새 문양형식을 이용한 기존의 편년 방법은 아직 재검토할 여지가 있다.
    1차 성토 단계의 유구에서 수습된 중국 남조의 자기편이나 지지명 인장와의 연대로 미루어 볼 때 최초의 대지조성시점이 6세기 4/4분기 이상 올라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그 하한은 7세기 1/4분기 전반대로 비정된다.
    바지구의 저습지 개발은 6세기 4/4분기경 이 일대에서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성토공사의 일환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성토공사 이전의 바지구 일대는 거의 방치된 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관북리 일대 시설물들의 변화양상으로 미루어 볼 때 현 지역은 7세기 1/4분기 이후에야 본격적인 왕궁 영역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양상은 사료에서 확인되는 일련의 왕궁 재정비 모습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Gawnbukli Baekje remains were divided into up and down of two life aspects on the boundary of the large embankment land of Sabi, and such land creation was related to expansion or redevelopment of the area around the palace. The study on ‘Ba’ district in Gawnbukli showed a low was reclaimed to expand the palace area, and the embankment and a wall in the end of reclaimed land made in a lot seemed to estimate that this area was the northwest boundary of the palace.
    Regarding the first life aspect and relevant remains in the reclaimed land, ‘folding and reversal-pattern roofing tiles’,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major chronologically recorded materials about land creation of the area, were collected a lot. The fact that the same type of roofing tiles were collected indicates that the land creation work of the area was made in a certain range of time, but it still needs to review the existing chronological recording that uses roofing tile patterns.
    Considering the period with ceramic pieces or Jijimyung(foundation stone) Injangwa(roof tiles marked with a seal) of Namjo, China collected remains of the first embankment stage, the first land creation period seems to be hard to trace back to the fourth quarter in the 6th century and its lowest limit is the fir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a low in the ‘Ba’ district is considered as the part of embankment construction that was extensively made in the area in the fourth quarter in the 6th century, but it seems that ‘Ba’ district before embankment construction was almost left alone.
    According to changes in facilities in Gawnbukli, the current area seem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ace area in earnest after the fir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which shows the high possibility of relations with a series of redevelopment of the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