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One of the ways of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tor out of North Korea - Focus on and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4.06
41P 미리보기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lt;단군신화&gt;·&lt;주몽신화&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9호 / 67 ~ 107페이지
    · 저자명 : 최윤정

    초록

    본고는 분단-다문화 시대에 점차 증가하고 있는 탈북이주민의 존재를 문화적 디아스포라라는 입장에서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2만여 명의 탈북이주민들이 온전히 살아가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인문학적 사유 방식과 배경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문화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통일을 바라보는 인문학> 시민인문강좌를 진행하면서 만났던 탈북수강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한 내용과, <단군신화>・<주몽신화>가 갖는 문화교육 텍스트로서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탈북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문화교육에서 <단군신화>・<주몽신화>가 갖는 의미를 ‘문화정체성 모색을 위한 집단서사로서의 가능성’과 ‘탈북 외상 치유를 위한 개인서사로서의 가능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또한, 탈북이주민 문화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로 다음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분단 이래 정치․문화적 이질성이 심화된 남북한의 현실을 인정하고, 남북한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남북한 사람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고전’과 ‘전통’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둘째, 탈북이주민들의 개인적․집단적 경험의 특이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새로운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understands the growing number of immigrator out of North Korea as the cultural Diaspora. Thus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perception that around 20,000 of immigrator from North Korea desperately need the cultural education about thinking and background of human science which are popularly accepted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views the survey data from trainees (North Korean immigrator) in the lecture of <Human science in terms of unification> where the author taught on <Tan-gun mythology> and <Ju-mong mythology>. Also, This research analyzes the meaningness as the text for cultural education which <Tan-gun mythology> and <Ju-mong mythology> possess. In addition, looking into the meaning of <Tan-gun mythology> and <Ju-mong mythology> in the cultural education for North Korean immigrator, this research summarizes these mythologies' meaningness as 2 aspects such as the possibility of a collective epic poetry for cultural identity and the possibility of a personal epic poetry for healing for a trauma coming from the difficult immigration proces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below 2 ideas in the cultural education for North Korean immigrator. First, lecturer for North Korean immigrator needs to recognize the existing cultural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since partition and execute the cultural education for national homogeneity. In this point of view,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can find a point of sameness for mutual understanding from ‘Classic’ and ‘Tradition’. Second, lecturer needs to recognize North Korean immigrator's escape experience as personal or collective peculiarity and suggest the cultural education which can heal a trauma from escape and lead into new life in different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