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강원도 금강산권역의 사찰 변천 연구 -16~18세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Temples in the Geumgangsan Mountain Area of North Gangwon-d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07
26P 미리보기
북강원도 금강산권역의 사찰 변천 연구 -16~18세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68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익

    초록

    金剛山은 한국 최고의 名山으로 高麗 후기부터 급속히 불교신앙의 수행처로 주목받아 100여 개의 사찰과 암자가 창건 또는 중창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찰과 경관을 보기 위한 遊覽文化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영향으로 금강산을 유람한 승려와 지식인들은 많은 記文을 저술하였다. 그 내용에는 그들이 직접 본 사찰의 변화상이 기록되었고 승려와 나누었던 담론도 실려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금강산을 다녀온 수행승과 유람객의 遊山記를 중심으로 금강산에 소재한 사찰의 모습과 승려의 法脈을 살피고자 한다. 유산기는 유람을 다닌 당대의 기록이므로 1차 사료에 해당한다. 금강산은 북한에 소재하여 자유롭게 답사를 할 수 없고 한국전쟁 당시에 대부분의 사찰 유산이 파괴되어 현상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유람객이 남긴 유산기를 통하여 당시의 모습을 검토하였다. 현재는 현장을 답사할 수 없고 불교 유산이 파괴되어 직접 비교할 수 없는 유산을 유산기만으로라도 당시의 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검토일 수 있다. 유산기를 통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를 파악해 보았다.

    영어초록

    Geumgangsan Mt. is one of the most famous mountains of Korea and rapidly drew attention as a place for practicing Buddhist asceticism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r expansion of over 100 Buddhist temples and hermitages. It became the center of sightseeing cultures as people flocked to see such temples and sceneries. Because of this, Buddhist priests and intellectuals who visited Geumgangsan authored many records and books about it. The contents spanned from records of changes in temples that they witnessed as well as discourses that they shared with Buddhist priests.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s of temples located in Geumgsangsan and Buddhist doctrines that were passed down by Buddhist priests focusing on the yusangi of Buddhist priests and sightseers who visited Geumgangsan during the Joseon Dynasty. Yusangi refer to records written while going on sightseeing trips in those times and they are primary historical records. Geumgangsan is located in North Korea and therefore, it cannot be visited freely, and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refore, it cannot be physically identified.
    Thus, its appearance was reviewed based on the yusangi left by sightseers in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Geumgangsan cannot be physically visited and most of the Buddhist heritages were destroyed, and therefore, recomposing the heritages that cannot be directly compared with just yusangi may be a meaningful review. This was identified within the available scope through the yusan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