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ock-cut Image of Buddha of Bukmireukam at Daeheungs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2.12
24P 미리보기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7호 / 249 ~ 272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해남 두륜산에 위치한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은 나말여초기 조각 가운데 손꼽히는 대형 불상으로서 높이가 약 6미터에 이른다. 마애불상의 대의 왼쪽 어깨 위에서 내려오는 술 장식을 비롯해서 마치 초상조각을 연상시키는 인간적인 상호(相好)와 부드러운 양감의 표현은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여주 포초골 석조여래좌상, 국립춘천박물관의 원주 학성동출토 철조약사여래좌상, 원주 봉산동 석조약사여래좌상과 같은 남한강으로 연결되는 원주, 여주지역의 나말여초기 불상들에서 나타나는 요소로서, 북미륵암 마애불상과 중부지역 불상들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이 마애불상의 조성배경에 중부지역을 지배했던 태봉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에서 보이는 과장된 양감과 광배 바깥쪽의 상하, 좌우에 대칭을 이루며 표현된 공양천인상은 합천, 김해, 산청과 같이, 신라의 중앙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나말여초기 불상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새로 유입된 조각적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전래된 당말오대(唐末五代)의 새로운 도상이 서남해안 지역에서 내륙으로 퍼지며 유행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서남해안 일대는 911년 이후 태봉에 지배권 안에 들어갔으며, 특히,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이 위치한 해남 두륜산 일대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은 국가적인 제의(祭儀)를 위해 군사전략과 관련된 방어시설과 함께 건립된 사찰의 주존(主尊)으로 조성된 불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ck-cut image of Buddha at Bukmireukam (北彌勒庵,North Maitreya Hermitage) at Haenam(海南), South Cheolla Province. The image exhibits huge size and a realistic manner of face-carving, with a decorative way of representing drapery and the tassel on his right breast, the kasaya, which it shares in common with Buddha images of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at Wonju (原州) and Yeoju(驪州) area along with Southern Han River, the territory of Taebong (泰封).
    The rock-cut image of Buddha of Bukmireukam has a halo decorated with four flying celestial images, two of which are offering a flower or holding an incense burner on both sides of Buddha. A halo with four celestial beings was quite unique in the Silla iconography and appears only in such stone Buddha images of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period as those at Hapcheon(陜川), Yangsan(梁山) and Sanchung(山淸), southern areas near to South Sea and far off from the capital Gyoengju, which implies that it is one of the iconographical elements newly imported from the Tang and Five Dynasties of China at that time.
    From 911 C.E. the south-western coast area came to be under the rule of Taebong. Similarity in style and iconography of the rock-cut image of Bukmireukam to the images located along the Southern Han River of the mid-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elonging to Taebong territory show that the rock-cut image of Buddha of Bukmireukam was made for Buddhist rituals on the Mountain Duryun(頭輪山), which was strategically important while this area was ruled by Taeb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