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부산 북빈매축과 비석마을 (The reclamation in busan north harbor of Japan and Bi-Suk vill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02
22P 미리보기
일본의 부산 북빈매축과 비석마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59호 / 225 ~ 246페이지
    · 저자명 : 최연주

    초록

    비석마을은 행정구역상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산 19번지 일대이다. 비석마을로 불리는 것은 지금도 일본인 묘지석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 일대는 20세기 초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었다. 마을 곳곳에 明治, 大正, 昭和 등의 일본 연호가 새겨진 묘지석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수량조차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일부 훼손된 채 굄돌이나 축대, 계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석마을은 부산이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장소이다. 부산 도시역사와 연관해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왜관의 왜인들이 행한 葬禮와 省墓 등 관련 의식에 대해 검토한 후 초량왜관의 확장과 개편, 그리고 일본 조계지의 도시화에 따른 비석마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비석마을에서 지난 2015년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총 120여점의 비석을 조사하여 70여개를 탁본하였다. 당시 탁본한 묘지석 내용 중 일부를 판독하여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초량왜관에 위치한 복병산 일본인 묘지는 1907년 부산항 북빈매축공사에 따라 아미동일대로 이전되었고, 1920년대 부산 최초의 근대식 화장장이 들어서면서 谷町이라 불렸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빈민들이 살았던 공간이었다. 1945년 해방되면서 일본인들은 서둘러 일본으로 귀국하게 되었고, 수 백기의 무덤 중 일부는 일본으로 이송되었지만, 무연고 유골은 고스란히 남게 되었다. 한편 1950년 한국전쟁 직후 기존 도심지에서 피란민을 수용할 수 없게 되자, 부산 시내 여러 곳에 분산 수용하였다. 전쟁이라는 현실 앞에서, 부산에 자주 발생한 대형 화재 등 처절한 현실 앞에서 아미동으로 이주한 피란민들은 일단 묘지 위에 집을 짓고 거주하였다.
    앞으로 비석에 대한 안내 정보의 부재, 주민들에 대한 정보 제공의 미흡, 비석 위치 불명확으로 관리의 문제, 비석 및 주변의 관리・보존 미흡 등의 문제는 해소되어야 한다. 비석마을의 형성과 변화 등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묘지석의 다양한 정보와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i-Suk Villege is located in Ami-dong, Seo-gu, Busan, Republic of Korea. The reason why being called Bi-Suk Villege is a number of Japanese Tombstones have existed now. There are Japanese cemetery and crematorium in early-20th Century. Tombstone carved in Japanese Era such as Meiji, Taishō, Shōwa have spreaded in all over the village, and the number of ‘Stones’ are uncountable. Bi-Suk Village is a place formed in process that Busan has been changed to Modern Cit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 with two aspects associated with City History of Busan.
    Firstly, it starts with checking the Japanese ceremony lived in Japanese office such as funeral and visit to ancestral graves, and considers Bi-suk Village’s development in relation to urbanization of Japanese Settlement. Secondly, it is composed with organization by interpreting the gravestone rubbing. This research based 70 pieces of the gravestone rubbing process on 120 pieces of the tombstone since June 20 to 22, 2015.
    Japanese Cemetery placed in Choryang Japanese Office had been moved to Ami-dong due to the reclamation in Busan North Harbor in 1907, and it named Gok-jeong after building Busan’s first Modernized crematorium in 1920. Numerous poor people lived here in Joseon’s early-20th-Century. After Liberation day of Korea in 1945, Japanese return to their own country in a hurry with several remains, but nameless remains were wasted there. Soon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local downtown cannot accommodated numbers of war refugees, and then they had been partly accommodated all over Busan. Refugees moved to Ami-dong built the house on the tombstone and reside there naturally.
    Hereafter, problem such as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ombstone and surroundings must be solved. Systematic study and distinct information need in order to comprehend historical event as to Bi-suk village’s development and grow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