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貞詩에 대한 北社批評 硏究 (A Study of Buksa(北社)’s Critical Review of Seokjeong(石貞)’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9
24P 미리보기
石貞詩에 대한 北社批評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09권 / 87 ~ 110페이지
    · 저자명 : 연민희

    초록

    『석정시초』는 학계에 전혀 소개되지 않은 미개척 자료로 시집으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구한말의 문단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두 문인 윤병정과 김윤식이 비점과 권점을 이용해 동시에 비평을 가한 비평자료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가 매우 크다. 본 논문은 윤병정과 김윤식을 중심으로 한 북사시회(北社詩會)의 비평양상이 석정의 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구명하였다.
    『석정시초』는 1책 2권의 필사본으로 5언시 99수, 7언시 144수, 진연시 27수 등 총 270수가 실려 있고 1권의 5언시와 7언시에 한정하여 비평하였다.
    『석정시초』의 작가는 석정 金性濟이다. 김성제는 단천 김상우의 아들인데 이 두 사람은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인물이다. 김성제는 면천에서 김윤식을 만나 자신의 시집을 보여주었고, 이를 기회로 북사시회의 윤병정과 김윤식이 비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상우는 강위 등 구한말 주요 시인들과 교유하며 자신의 문집을 남겼고, 김성제 또한 시집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문학적 전통을 간직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석정시초』의 구체적인 비평 경위를 확인할 수 없지만 현재 대전에 거주하는 창녕 성씨 문중에서 보관 중이다.
    윤병정과 김윤식이 활동한 19세기 후반의 북사는 시기적으로는 장동시사나 십이매화회와 거의 같은 시기에 조직된 시사임이 확실하므로 장동시사, 北社, 北山詩友會 등이 거의 같은 이름으로 일컬어졌을 것이다. 김성제의 시집을 본 김윤식은 윤병정에게 이를 소개했고, 윤병정과 뜻이 맞아 이 시집에 대해 동시에 비평을 가하게 되었다. 윤병정이 朱批를, 김윤식이 墨批를 쓴 것으로 보아 윤병정이 먼저 비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석정시에 대한 북사비평은 윤병정은 7언시에, 김윤식은 5언시에 절대적 호평을 보였다. 그리고 내용면에서는 윤병정은 진솔한 일상의 형상화, 핍진한 경물 묘사, 탈속의 경지를 추구한 작품에 좋은 평가를 내렸다. 김윤식은 淸의 풍격, 入神의 경지, 사실적인 표현이 구현된 작품에 비점을 가해 좋은 작품으로 인정하였다. 그리고 서로 공동으로 비점한 대상은 5언시 7수, 7언시 41수로 7언시가 압도적이었다. 내용면에서는 平淡하고 脫俗한 意境을 표현한 시, 情景交融이 조화를 이루는 시, 수사적 대비가 뛰어난 시 등을 좋은 시로 평가하였다.
    석정 김성제라는 인물과 그의 시집 석정시초를 학계에 처음 소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특히 북사라는 시회에서 당시 문단의 저명한 문인인 윤병정과 김윤식이 동시에 비평을 가한 한국 비평사상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SeokjeongSicho(石貞詩鈔)』 has a significant value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it is not only a collection of poems that has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but also a critical review in which Yoon Byung-jung and Kim Yoon-sik, two representative figures of late Joseon Dynasty literature circle, critiqued Seokjeong’s poems through the use of circles and do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critical review of the Buksa Poetry Society(北社詩會) centered around Yoon Byung-jung and Kim Yoon-sik was applied to Seokjeong's poems.
    『SeokjeongSicho』 is a 2-volume manuscript book and contains 270 poems by Seokjeong in total, including 99 5-word poems, 144 7-word poems and 27 banquet poems. Among these, Buksa members Yoon Byung-jung and Kim Yoon-sik restricted their critiques to the 5-word and 7-word poems in Volume 1.
    『SeokjeongSicho』 was written by Seokjeong Kim Seong-jae(金性濟), who is the son of Dancheon Kim Sang-woo. These two men have never been introduced in the academia prior to this work. Kim Seong-jae and Kim Yoon-sik first met in Suncheon and later reunited when Kim Yoon-sik was exiled to Myeoncheon, which is when we assume Kim Seong-jae to have presented his works to Kim Yoon-sik for the reviews by Yoon Byung-jun and Kim Yoon-sik of Buksa Poetry Society. From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Kim Sang-woo and major poets of late Joseon Dynasty such as Kang Yui and the poetry books left by Kim Seong-jae, we can see that there is a literary tradition kept within the family. Although we cannot identify exactly how the criticisms happened, 『SeokjeongSicho』 is preserved within the Changnyeong Seong family household residing in Daejeon.
    Buksa is believed to have been called almost the same as Jangdongsisa, Buksa and Buksansiuhoe(北山詩友會) because it is sure to have been organized around the same time as Jangdongsisa and Sipyimaehwahoe. It is presumed that Kim Yoon-sik, as a medium, critiqued the poetry together with Yoon Byung-jung of the Buksa Poetry Society. We can see that Yoon Byung-sik was the first to critique in that Yung Byung-jung used red circles and dots(朱批) and Kim Yun-sik used black circles and dots(墨批).
    In Buksa’s criticism of Seokjeong’s poems, Yoon Byung-jung and Kim Yoon-sik were absolutely favorable to Seokjeong’s 7-word poems and 5-word poems respectively. In terms of content, Yoon Byung-jung gave good reviews for poems, which portrayed honest daily life, described the scenary realistically and pursued the unworldly stage. Kim Yoon-sik highly recognized poems, which embodied the preference of the style of purity(淸), the status of divinity(入神) and realistic expressions by adding circles and dots. In addition, it was 7-word poems that were overwhelmingly praised, with 7 5-word poems and 41 7-word poems jointly praised with circles and dots. In terms of content, poems that expressed the simple and unworldly status of mind, poems that harmonized emotions with the scenary, and poems with excellent rhetorical contrast, etc. were evaluated as good poems.
    This work presents Seokjeong Kim Seong-jae and his poetry 『SeokjeongSicho』 for this first time in academia, which is valuable in that it is the only piece of literature in history of Korea that two renowned figures of the Buksa Poetry Society, Yoon Byung-jun and Kim Yoon-sik critiqued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