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좌부와 유식의 인식론과 수행에 대한 현대적 적용 고찰 (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Modern Times of the Epistemology and Meditation Practices of Ārya-sthavira-nikāya and The Mind Onl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상좌부와 유식의 인식론과 수행에 대한 현대적 적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5호 / 211 ~ 238페이지
    · 저자명 : 고은진

    초록

    이 논문은 불교 철학의 주요 종파 중 하나인 상좌부 아비담마 불교와 유식불교의 인식론과 수행법에 대해 살피고, 현대 인지 과학과 정신 의학과의 관련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상좌부 아비담마에서 인식과정은 어떤 형상이나 이름에 대해 지나간 바왕가, 바왕가의 동요, 바왕가의 끊어짐, 오문 전향이 일어나 오문이 이를 받아들여 조사, 결정, 속행, 여운의 심찰나로 이루어진다. 의문은 바왕가의 동요, 바왕가의 끊어짐, 의문전향, 속행, 여운의 심찰나로 완성된다.
    유식 불교에서는 세계를 형성하고 인식하는 제8아뢰야식(識)에 대해 언급한다. 종자로서의 제8아뢰야식은 과거의 업이 모두 함장되어 있는 종자의 발현으로 인식하는 주체와 인식하는 객체로 이분화하여 세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인식론의 차이는 수행방법의 차이로 이어지며 상좌부 아비담마 수행이 한정된 시간 안에 존속하는 찰나생, 찰나멸의 과정을 알아차리는 것이라면 유식은 전체로서의 마음인 아뢰야식을 자각하는 수행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상좌부 아비담마는 아라한도를 이루는 것을, 유식은 세계 전체가 내 마음이라는 유식성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이는 현대에 와서 상좌부 아비담마의 인식과정과 수행법이 인지과학 분야에서, 유식 불교의 심식론이 정신의학 분야와 연계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인공지능의 정보처리 과정은 상좌부 아비담마의 인식 과정과 흡사하며, 유식은 세계와 자아는 모두 식(識)일 뿐이라는 유식무경(唯識無境)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왜곡된 자아와 세계에 의한 정신병리적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불교의 수행은 종교를 넘어서 현대에 와서도 삶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해준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epistemology and meditation practices of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and the mind only Buddhism. Further it studies their relevances to cognitive science and cognitive therapy.
    In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percep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bhavaṅga takes place for certain figures and names; five approach receives it and further investigate and decide; and the perception goes through sokhaeng and yeoun in manas approach. In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perception is about awakening of the process of instantaneou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e aim of meditation practice is to fulfil the state of full attainment of arhatship through such process.
    According to the mind only Buddhism, the real world is perceived by eight minds. However, the eight minds consist of the emergence of seeds that include karma of the past. The eighth Ālayavijñna(我賴耶識) as seeds form the world by dividing perceiving subject and perceiving object.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practicing the mind only Buddhism is to perceive the eighth Ālayavijñna(我賴耶識).
    Such differences in epistemology leads to the difference in meditation practices. While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Buddhism aims to become aware in every single moments, the mind only comes to perceiving practices of Ālayavijñna(我賴耶識).
    Basically, this type of meditation practice is sati practice. If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is about realizing the moment of instantaneou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rough practising Samāthā-bhāvanā and Vipassanā-bhāvanā, the mind only is about perceiving what we consider through contemplating phenomena as Ālayavijñna(我賴耶識).
    Such differences lead to a different application in modern times with the perception process and meditation methods being applied to cognitive science and with shimshikron of the mind only Buddhism being applied to cognitive therapy. Information processing proced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the perceiving process of Ārya-sthavira-nikāya abidamm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elf can help reduce the symptoms of mental diseases. Indeed,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present effectiv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of life, which go beyond the boundary of religion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