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董越의 「朝鮮賦」를 통해 본 中國 使臣의 朝鮮 認識 (Chinese Envoy’s Cognition of Joseon Examined through Dongyue’s Chaoxianf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2.12
34P 미리보기
董越의 「朝鮮賦」를 통해 본 中國 使臣의 朝鮮 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3호 / 179 ~ 212페이지
    · 저자명 : 윤재환

    초록

    董越의 「朝鮮賦」는 성종 19년(1488) 頒詔正使로 조선을 찾았던 明나라의 右春坊右庶子 兼 翰林院侍講 동월이 조선 사행을 마친 뒤 조선의 산천과 풍속, 인정과 물정을 賦의 형식으로 기록한 글이다. 「조선부」는 간행되자마자 조선과 중국 두 나라 사람들에게 상당한 관심과 호응을 받았고 널리 읽혀졌다.
    이 글은 「조선부」에 드러난 동월의 조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동월이나 동월의 「조선부」에 대해 언급한 글들은 대부분 “동월이 조선을 진정으로 이해하려 하였고, 조선에 대한 우호를 바탕으로 「조선부」를 창작하였기 때문에 그의 「조선부」에는 중화주의적 발상이 숨어있기는 하지만 이전까지 나온 조선에 대한 글들과 달리 조선의 문화를 선양하고 조선의 참 모습을 널리 알리려고 하는 것이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버릴 수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월의 「조선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의 조선 인식을 정말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을까’하는 것과 ‘정말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만약 동월의 「조선부」에 대한 분석 결과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와 달리 나타난다면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또 당대 조선 사람들이 동월과 동월의 「조선부」를 그렇게 우호적으로 보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월과 동월의 「조선부」를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당대 중국의 지식인과 중국 사신들이 지니고 있었던 조선에 대한 기본 인식을 유추해보고자 한다.
    동월은 사신이라는 자신의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사실성에 입각하여 「조선부」를 저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월의 「조선부」 저술이 이러한 목적에 따른 것이라면, 「조선부」 속에 기재되어 있는 조선의 사정은 기본적으로 신뢰할 만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선부」의 내용에 대해 중국 쪽에서 바라보는 시각과 조선에서 바라본 시각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바라보기에 동월의 「조선부」는 조선에 중화의 유풍이 남아 있어서 후대의 권계와 귀감이 될 수 있어 가치 있다는 것이고, 조선에서 바라보기에 동월의 「조선부」는 비록 조선의 실정과 다 들어맞지는 않지만, 그래도 조선이 중국을 섬기는 충심과 중국이 조선을 후히 대하는 성의를 보여 주는 것이기 때문에 가치 있다는 것이다. 동월의 「조선부」가 중국과 조선 두 나라에서 모두 인정받았지만, 그 이유는 다른 것이었다.
    동월의 「조선부」는 그의 기본적인 의식 세계가 중화라는 문명권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문명을 중심으로 조선을 바라보고 조선의 풍경과 풍속을 기술하는 것이 동월의 「조선부」 기술의 기본적인 태도였다. 이에 따라 동월은 「조선부」에서 중국과 관계되지 않는 사항이나 중국의 禮制와 어긋나지 않는 조선의 풍경과 풍속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시선을 보낼 수 있었다. 이 긍정적인 시선에 따른 조선에 대한 사실적 묘사가 조선의 문화적 상승 욕구와 결합하여 「조선부」에 대한 조선인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월의 대 조선 인식이나 「조선부」의 가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Dongyue’s Chaoxianfu is a writing in which Dongyue recorded Joseon’s landscapes, customs, people, and culture by the form of ‘fu(賦)’ after Dongyue who was then the Yòuchūnfāngyòushùzǐ and Hànlínyuànshìjiǎng of Ming Dynasty court completed his envoy trip to Joseon in 1488(19th year of King Seongjong’s throne). As soon as it was published, Chaoxianfu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nd response of both Koreans and Chinese, and was widely read.
    This study is to examine Dongyue’s cognition of Joseon appearing in Chaoxianfu. Most previous researches about Dongyue or Dongyue’s Chaoxianfu till now evaluated, “since Dongyue tried to truly understand Joseon and wrote Chaoxianfu based on the amity with Joseon, though his Chaoxianfu hid Sino-centric ideology, it attempted to enhance Joseon’s culture and to promulgate the true Joseon unlike previous writings about Joseon.” However, such previous researches are very doubtful. Thus, this study tries to preferentially clarify ‘if Dongyue’s cognition of Joseon referred from Chaoxianfu can be categorized like previous researches’, and ‘what is the reason if so.’ If this study’s analysis on Chaoxianfu appear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why previous researchers and contemporary Joseon people deemed Dongyue so friendly should be examined. By the examination, Dongyue and his Chaoxianfu can be understood more objectively, and basic cognition of Joseon which Chinese literati and Chinese envoys held can be analogized.
    It seems that Dongyue wrote Chaoxianfu based on authenticity in order to complete his duty as an envoy. If Dongyue wrote Chaoxianfu for such a goal, Joseon’s circumstances recorded in Chaoxianfu can be basically considered to be quite reliable. However, regarding such contents of Chaoxianfu,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perspective and Joseon’s perspective.
    From Chinese point of view, Dongyue’s Chaoxianfu was valuable because the remaining Chinese customs in Joseon can be admonishment and paragon for future generations; from Joseon’s point of view, it was worthy as long as it showed Joseon’s loyalty toward China and China’s sincerity bountiful treatment for Joseon though Dongyue’s Chaoxianfu did not fully reflect Joseon’s circumstances. Dongyue’s Chaoxianfu achieved recognition from both China and Joseon, yet the reasons for the recognition were different.
    Dongyue’s Chaoxianfu shows that his fundamental consciousness was formed around the cultural core of Chinese civilization. Dongyue’s basic attitude in writing Chaoxianfu was to watch and describe Joseon’s circumstances and customs according to the cultural core of Chinese civilization. Due to the reason, in Chaoxianfu Dongyue could keep his positive and friendly perspective toward things not related to China and Joseon’s circumstances and customs that accord with Chinese rites and systems. It seems that as his realistic description of Joseon from such his positive perspective matched Joseon’s cultural upward desire, Chaoxianfu could receive fervent response from Joseon people. The value of Dongyue’s cognition of Joseon and of Chaoxianfu can be found at this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