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tents Under the Elevated Structure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10
10P 미리보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0권 / 5호 / 49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유진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급속도로 발전한 산업화와 도시 발전에 의해 도시 공간 속에 많은 유휴 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도시 공간 속 유휴 공간 중 고가도로는 사람과 물자를 운반하는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고가도로의 하부공간으로 인한 지역의 분절이 나타나고 하부공간의 무분별한 사용, 어둡고 삭막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가도로로 단절 된 지역들의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어떠한 콘텐츠로 커뮤니티의 공간이 되었는지를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고 고가도로의 하부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단절 된 지역을 주민들의 지속적인 공간 사용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제안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대한 구조적특징과 사회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을 고찰하고 가시적, 비가시적 콘텐츠의 활용과 주민들의 지속적인 공간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과 고가도로 하부공간으로의 접근 방법,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분석을 통해 결론적으로 단절 된 지역을 주민들의 참여에 의한 콘텐츠의 활용으로 도시 공간 속 유휴 공간인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성화 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고가도로 하부 공간의 사용가능한 공간을 고찰하고, 고가도로 하부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특징을 고려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활용한 선진사례 에서 보여 지는 가시적, 비가시적 콘텐츠의 활용과 공간의 장소적 특징을 활용한 공간 유형을 도출하여 커뮤니티의 공간으로써의 활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연구 결과 고가도로 하부의 콘텐츠로 인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법으로는 주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콘텐츠를 활용하였고 또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커뮤니티의 근본적인 활동영역을 제공하였으며 주민들의 공간 활용이 지속되면서 사례에서 보이는 공간들의 사회적 문제점들이 해소되어 지고 지역의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고가도로 하부의 저렴한 임대료, 대여료로 주변의 상업공간을 고가도로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주민들의 왕래가 잦아졌으며 자연스럽게 단절 된 지역을 소통 가능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결론)고가도로 하부의 지속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첫째 의, 식, 주를 해소 할 수 있는 콘텐츠로 지속적인 공간사용이 되어야 하는 콘텐츠와 여가, 휴식 등 편의를 위한 이벤트 적 콘텐츠의 효율적인 활용이 되어야 한다. 둘째로 고가도로 하부의 공간은 도시 구조상 차도에 둘러싸인 교통섬의 구조로 되어있다.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선 차도를 피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하며 셋째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환경을 개선하여 방문하는 사람들의 쾌적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해야한다.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필요한 콘텐츠의 활용으로 고가도로하부 공간의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으며 단절 된 지역을 연결 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어 질 것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Because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quite a few idle spaces are being generated in urban areas. Although overpasses were constructed for transportation of people and materials, the appearance of regional segmentation caused by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their indiscriminate use are creating a dismal and desolate atmosphere.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how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in segmented regions were transformed into community spaces and made available to local residents as sustainable spaces for collaborative use. We examin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the resulting social phenomena, and we analyzed visible and invisible utilization of related contents, methods to induce sustainable use by local residents, methods for accessing newly created spaces, and the ways overall urban views could be improved. With this analysis, we were able to verify how segmented idle spaces in the city can be regenerated into community spaces through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using various contents. (Research method) The phenomenon of residenti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through utilization of visible and invisible contents using available examples, and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ng a space into a community space was analyzed by inducing spatial types through utilization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Results) Regarding community revitalization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using appropriate contents, the ones that induced sustaine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ere utilized, and fundamental activity areas of the community were provided through lively programs. Consequently, social problems of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were resolved and regional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was accomplished, as sustained utilization of such spaces by local residents increased (supported by examples). Furthermore, residential traffic s became more frequent as reasonable rental rates were offered as a result of locating surrounding commercial spaces in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nd segmented areas were transformed naturally to community spaces. (Conclusion) To use the space underneath an overpass as a sustainable community space, the following steps should be taken: first, sustainable use of the space should include contents that can solve issue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as well as efficient utilization of these contents for the sake of leisure and rest. Second, since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are necessarily surrounded by streets to form transportation islands, as conditioned by urban structure, the means should be devised to ensure easy access for avoiding the risks of roads for vehicles. Third, means should be devised for visitors to enjoy utilization of pleasant spaces by improving environments in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problems of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es will be resolved through utilization of required contents so that segmented regions can be reconn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