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왕직아악부의 궁내성 출장과 궁중음악의 변화 (Yiwangjik Aakpu’s Travel to Kungnaesŏng and the Changes in Court Music)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이왕직아악부의 궁내성 출장과 궁중음악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70호 / 135 ~ 170페이지
    · 저자명 : 이수정

    초록

    『조선아악』에 수록된 이왕직아악부의 1936년 일본 궁내성 출장 복명서를 고찰하여 1930년대 궁중음악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악사장 함화진과 아악수장 김덕규가 작성한 복명서에 밝힌 출장목적은 악부에서 주최하는 아악공개연주회를 관람하고 악부를 견학하는 것이었다. 함화진의 ‘궁내성악부견학과 조사개요’에는 악부의 현황 및 운영, 연주 악곡과 악생운영 상황, ‘악부연주회참관소감’은 서양악기와 아악기를 혼합관현악으로 연주하는 악부연주회를 본 소감을 기록하고 있다. 공연 관람 후 함화진은 아악부의 향후 방향성과 아악의 전통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변화에 대한 요구, 즉 아악부 갱생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이 부분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왕직아악부의 도쿄 공연에 대한 논의도 담겨있다. 김덕규의 출장 복명서는 동경에서 만난 이우공부사무관 이이타카 치에이(飯高治衛)의 충고를 정리한 것이다. 내용은 함화진의 문서에도 있는 규율을 지키고 사치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동일하지만, 특히 아악의 신곡신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 출장지에서 아악부원의 생활태도, 학습태도를 문제 삼는 치졸한 방식으로 향후 일정에 협조하라는 압박하고 있는 상황을 알 수 있다. 이 출장 복명서는 아악부원의 이름으로 작성되었지만 궁내성관계자가 이왕직아악부의 운영에 어떠한 방법으로 관여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증거가 되는 문서이다.
    이어서 이 출장 복명서를 중심으로 1930년 전후 궁중음악계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왕직아악부의 궐 밖 음악활동으로 조선신궁(1926), 용산의 조선총독관저(1926), 박람회장(1929), 창경궁 야외행사장(1924), 경성방송국(1928), 부민관(1938)이 있는데, 순종 승하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궐 밖 음악 활동 양상과 궁내성 출장 이후에 벌여진 부민관 공연 활동을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일제 식민정책에 따라 이왕직아악부의 음악적 전통에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하는 성과가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court music during the 1930s by examining the 1936 travel report of Japan’s Kungnaesŏng, which is included in Chosŏn aak in Changsŏgak. The purpose of the trip, as stated in the travel report written by Ham Hwa-chin, the president of aak, and Kim Dŏk-Kyu, the head of aak, was to watch the open concert held by Kunaicho and to tour the Akpu.
    Ham Hwa-chin’s travel reports, “The Tour of Kunaicho and the Research Overview,” describes the status and operation of the Akpu, the music performed, and the operation of the members, while “The Review of Attending the Akpu Concerts” records his impressions of the Akpu concerts, which both Western and aak instruments were played as an orchestral music. Regarding the concerts, Ham Hwa-chin expressed confusion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Yiwangjik aakpu and the preservation of Chosŏn aak. This was due to the forceful demands for change imposed by Japan, leaving no other option but to accept them.
    Kim Dŏk-Kyu’s travel report summarizes the advice of the deputy director, Chiei Yidaka, whom he met in Tokyo. The advice was for the members of the aak to be disciplined and not to indulge in extravagance, and that they should especially make efforts to create new songs. This indicates that they forced the aak members to cooperate with the upcoming schedule in a crude way, questioning their lifestyles or learning attitudes.
    Although the travel reports were written in the names of the two aak members, the reports provide evidence of the ways in which the Japanese Kungnaesŏng officials were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Yiwangjik aakpu.
    Based on the travel report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state of court music during the 1930s. Yiwangjik aakpu’s musical activities outside the palace included Chosŏn Shrine (1926), Chosŏn Governor-General’s House in Yongsan (1926), Fair Hall (1929), Outdoor Event Hall in Ch'anggyŏnggung (1924), Kyŏngsŏng Broadcasting Station (1928), and Pumin'gwan (1938). Following the death of King Sunjong, the activities of Yiwangjik aakpu already changed drastically. After a business trip to Kungnaesŏng, Yiwangjik aakpu played songs praising the Japanese Empire composed in Western music with Korea’s traditional instrument.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Yiwangjik aakpu which changed according to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is study reveals numerous changes in the tradition of Korean court music during tha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