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령에 따른 중심 및 주변부 각막두께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 by Age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9.06
9P 미리보기
연령에 따른 중심 및 주변부 각막두께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11권 / 2호 / 127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혜정, 정세준, 백승선, 정미아, 김형진

    초록

    목 적 : 성별, 좌우안 및 나이에 따른 중심 및 주변부 각막두께, 각막중심부와 가장 얇은
    곳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Scheimpflug pho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다.
    방 법 : 각막질환이 없고 건강한 대학생 51명(남자 29명, 여자 22명, 평균나이 22.50±
    3.31세)과 장노년층 39명(남자 21명, 여자 18명, 평균 나이 54.26±6.25세) 총 180안을 대상
    으로 Pentacam(Oculus Co.)을 이용하여 동공중심, 동공중심에서 3 mm 떨어진 상, 하, 좌,
    우 지점, 가장 얇은 곳의 각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대학생의 평균 중심각막두께는 555.98±32.69 μm, 주변부는 위쪽, 코쪽, 아래쪽,
    귀쪽 순으로 681.72±36.04 μm, 653.34±38.04 μm, 628.69±35.18 μm, 624.26±36.06 μm
    이었고, 장노년층의 평균 중심각막두께는 543.69±33.40 μm, 주변부는 위쪽, 코쪽, 아래쪽, 귀
    쪽 순으로 649.97±45.53 μm, 630.95±39.65 μm, 620.94±37.09 μm, 614.28±35.59 μm
    이었다. 성별(t = -0.3966, p = 0.69214) 및 좌우안(t = -0.41772, p = 0.67665)에 따른 유의
    한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 = 2.47572,
    p = 0.01423),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각각 r = -0.414, r = -0.254, r = -0.155 and r =
    -0.203). 각막에서 가장 얇은 곳은 하이측에 존재하였으며(우안 : r = 0.69±0.25 μm, θ=
    209.49°, 77/90안, 좌안 : r = 0.57±0.22 μm, θ= -41.57°, 78/90안), 각막 중심두께와 가
    장 얇은 곳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 = -1.6229, p = 0.10549).
    결 론 : 각막두께는 성별 및 좌우안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나이가
    증가할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상비측이 얇아진다. 또한, 각막에서 가장 얇은
    곳은 대부분 하이측에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생리적 변화는 증가하는 굴절수술 및 안과적
    수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 To evaluate cor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and between central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es by sex, sides
    and ages using Pentacam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lderly people.
    Methods : 51 healthy eyes(male : 29, female : 22. average age : 22.50±3.31 year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39 healthy eyes of elderly people (male : 21, female :
    18, average age : 54.26±6.25 years) were recruited. We measured central, peripheral
    (3 mm away from the central cornea at 0°, 90°, 180° and 270° each)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es using Pentacam(Oculus Co.)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s by
    sex, sides and ages.
    Results : The averag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555.98±32.69 μm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were 681.72±36.04 μm superiorly, 653.70±38.04 μm
    nasally, 628.69±35.18 μm inferiorly, and 624.26±36.06 μm temporally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 In elderly group, the averag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543.69±
    33.40 μm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were 649.97±45.53 μm superiorly,
    630.95±39.65 μm nasally, 620.94±37.09 μm inferiorly, and 614.28±35.59 μm tempor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t = -0.3966, p = 0.69214) and
    between the sides(t = -0.41772, p = 0.67665), however we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The inferotemporal quadrant is thinner than the
    superonasal quadrant. The thinnest points of right and left eyes were r = 0.69±0.25 μm,
    θ= 209.49°, 77/90 eyes and r = 0.57±0.22 μm, θ= -41.57°, 78/90 eyes respectively.
    Increasing ages was associate with reduced the superonasal quadrant(r = -0.414, r =
    -0.254, r = -0.155 and r = -0.203 respective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
    Conclusion : Increasing age was associate with reduce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in superonasal quadrant. The inferotemporal quadrant is thinner than the
    superonasal quadrant. The thinnest point was located in the inferotemporal quadrant.
    The information like age-related anatomic change would be useful for refractive
    surgery and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