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반도 중서부 지방 신석기시대 취락의 점유 양상 (The Occupation Appearance of The Neolithic Settl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한반도 중서부 지방 신석기시대 취락의 점유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2권 / 3호 / 5 ~ 43페이지
    · 저자명 : 소상영

    초록

    Ⅰ기에는 내륙의 자연제방과 해안 및 도서 지역의 구릉에 대규모 취락이 입지한다.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원형이나 방형으로 기둥은 4주식이 기본이다. 주거지 내부의 노지는 내륙에서는 위석식, 해안 지역에서는 수혈식이 설치되며, 운서동 Ⅰ의 예로 볼 때 해안 지역은 단 시설을 갖춘 경우가 많다.
    Ⅱ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취락의 규모가 축소되어 큰 강 주변의 자연제방에서 지류 주변의 구릉으로 이동한다. 특히 충청 내륙에서는 대천리식주거지로 명명된 장방형 주거지 1~2기가 구릉상에 독립적으로 입지하는 양상을 보인다. 해안 및 도서 지역에서는 대규모 취락이 증가하고 밀집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거지의 내부 구조는 4주식의 기둥에 내부에 수혈식 노지를 갖춘 정연한 구조를 띠며 재사용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취락의 구성은 대부분 주거지만으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Ⅱ기 중반에는 해안 및 도서지역 취락의 규모도 현저히 축소되며 Ⅱ기 전반과는 달리 야외노지와 수혈유구가 다수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중산동(한강) 21, 23지점, 운북동 6지점과 같이 10기 이상의 주거지로 구성된 취락도 일부 존재하지만, 취락의 소규모화 경향은 뚜렷해진다. 중산동(한강)과 운북동의 경우도 Ⅱ기 전반의 취락 형태가 집촌형의 선상취락 또는 면상취락인 것과는 다르게 산촌형의 괴상취락으로 변화한다. 주거지의 구조는 Ⅱ기 전반과 유사하지만 내부에 다수의 기둥자리가 무질서하게 배치되고 노지가 2~3차례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재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주성이 약화되어 주기적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Ⅱ기 후반에는 취락의 규모는 더욱 축소되고 야외노지가 증가하며 1,500cal BC를 전후한 시기에 이르면 취락은 소멸하고 해안 및 도서지역에 패총만이 잔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영어초록

    In the Phase I of the Neolithic Age, large-scale settlements are formed in a natural bank, the seashore, and hills of islands. The plain structure of the pit-house is round or square-shaped with basically four pillar holes. As for a hearth inside the residence, a slab-stone typed hearth is installed in the inland area, and pit typed hearth in the seashore. As shown in the example of Woonseo-dong Ⅰ, stair facilities are often found in the seashore.
    In the early Phase II. the size of a settlement becomes small in the inland area, and a settlement moves from a natural bank around a big river to a hill around a tributary. Especially, in the Chungcheong inland, one or two residences shaped with rectangle, called Daecheonri type pit-house, are settled independently in hill areas. In the seashore and islands, large-scale settlements grow and get crowded. The inner structure of the pit-house features four pillar holes and a pit typed hearth. It is in good order and shows no trace of reuse. The settlements have a simple structure comprised only of pit-houses.
    In the Mid Phase II, the size of a settlement in the seashore and islands also shrinks remarkably. Unlike in the early Phase II, in the phase, many open hearths and pits are found. As shown in the point 21 and 23 of Jungsan-dong (Hangang) and the point 6 of Woonbuk-dong, there are some settlements comprised of more than 10 pit-house. Nevertheless, settlements clearly becomes smaller. The settlement types in the Early Phase II are concentrated types of line-shaped settlement and town-shaped settlement. However, the settlement types in Jujungsan-dong (Hangang) and Woonbuk-dong change to the scatter type of lump-shaped settlement. The pit-house structure in the Mid Phase II is similar to that in the Early Phase II. But, it has multiple pillar sites arranged without any order, and the hearths overlapped two or three times, indicating repeated use. It is judged that such a phenomenon is caused by weak settlement and regular movements. In the Late Phase II, the size of a settlement gets smaller further, and the number of open hearths increase. Around 1,500cal BC, settlements came to disappear, and shell middens survive in the seashore and Island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