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A Study on Document Administration of Suwon-b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4
3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9호 / 236 ~ 271페이지
    · 저자명 : 노인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수원부유수 관련 고문서와 수원부유수 서유구가 기록한 『華營日錄』을 통해 조선 후기 수원부유수의 문서 행정을 살펴보았다. 1793년(정조 17)에 정조가 수원부에 정2품 유수를 임명하면서 수원부의 문서 행정은 변화하였다.
    국왕은 수원부사에게 임명장인 告身과 군사권을 운용하는 내용이 수록된 密符諭書를 내렸지만, 수원부유수가 임명된 이후에는 고신·밀부유서와 함께 敎書를 내려주었다. 국왕이 수원부유수에게 명령할 때에는 승정원의 有旨를 통해 국왕의 명령을 전달하였다. 수원부유수가 국왕에게 上達하는 경우에는 사안에 따라 上疏·啓本·狀啓·箋文을 올렸다. 수원부사 시절에는 국왕에게 상소와 장계를 올렸으나, 수원부유수가 임명된 이후에는 국왕에게 상소·장계와 함께 계본·전문을 올렸기 때문에 수원부유수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원부유수가 중앙의 비변사·六曹와 주고받은 문서 행정은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 牒呈과 關이 행용되었다. 수원부유수는 상급 아문인 비변사에 보고할 때에 첩정을 올렸고, 비변사는 수원부유수에 關을 내려 공적인 업무를 명령·지시하였다. 수원부유수와 동등한 六曹 사이에는 關을 통해 공적인 업무를 주고받았다. 수원부유수와 소속 관원 사이에는 傳令·甘結·牒呈이 행용되었다. 수원부유수가 소속 관원에게 명령할 때에는 전령과 감결을 통해 명령하였고, 수원부에 소속된 관원이 수원부유수에게 보고할 때에는 첩정을 올려 보고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an effort was made to examine document administration of the Governor of Suwon-b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old documents related to the Governor of Suwon-bu and Hwayeong Il’log (Daily Recordings of Suwon Garrison) written by Seo Yu-gu, the Governor of Suwon-bu. A change was made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1793 (Jeongjo 17) when King Jeongjo appointed a Governor of the 2nd Degree A rank to Suwon-bu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the King granted Goshin, a Letter of Appointment, to the Prefect of Suwon together Milbu Yuseo, a Certificate of Military Command, containing specifics of military authorization. But after the appointment of the Governor of Suwon-bu, the King granted Gyoseo, a Certificate of Good Governance, along with Goshin and Milbu Yuseo. When the King issued an order to the Governor of Suwon-bu, the order was delivered to the Governor through Yuji of Seungjeongwon or an order of the Royal Secretariat. When the Governor of Suwon-bu wanted to forward an official bottom-up communication to the King, the message was submitted to the king in the form of Sangso, Gyebon, Janggye or Jeonmun depending on the case. When Suwon was a Prefecture, the Prefect submitted a Sangso or Janggye to the King, but after Suwon was renamed as Suwon-bu, the Governor submitted a Gyebon or Jeonmun along with Sangso and Janggye, signifying that the status of the Governor of Suwon-bu was enhanced.
    For document administration between the Governor of Suwon-bu and Bibyeonsa or Six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Cheopjeong and Gwan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tipulations of Gyeongguk Daejeon (the Legal System of Gyeongguk Daejeon). The Governor of Suwon-bu submitted Cheopjeong for bottom-up report to Bibyeonsa of the central government whereas Bibyeonsa sent a top-down order or instruction to the Governor of Suwon-bu using Gwan. For official communication with Six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Governor of Suwon-bu used Gwan as an equal in administrative hierarchy. For offic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or of Suwon-bu and his subordinates, Jeonryeong, Gamgyeol, and Cheopjeong were used. When the Governor issued an order to his subordinates, the order was delivered through Jeonryeong and Gamgyeol whereas, when his subordinates wanted to send a report to the Governor, Cheopjeong was submit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