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石塔의 基壇과 基礎部 築造方式 考察 -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tone Stupa the stereobate and substructure in Korea.)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10
50P 미리보기
韓國石塔의 基壇과 基礎部 築造方式 考察 -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2권 / 53 ~ 102페이지
    · 저자명 : 홍대한

    초록

    건축물은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탱하고 지면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기단을 구비한다. 동시에 중량건축물은 수직하중의 분산과 함께 횡압력으로부터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기초부 보강이 필수적이다. 해방 이후 많은 석탑이 수리, 복원되었으나 불과 30 여년을 견디지 못하고 재 수리나 구조상의 안전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석탑 기초부에 대한 이해부족 때문이라고 하겠다.
    석탑의 기단과 기초부는 구조물의 규모산정과 안전을 위한 필수 고려 사항인데, 목조건축의 가구식 기단을 차용한 것으로 하부 기초공사는 산성축조 기법 등 고대 토목기법과 연관되어 있다. 석탑 기초부 축성은 목탑 혹은 목조건축의 판축공법을 바탕으로 시작됐다.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석탑을 통해 정방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굴광 후 최하부에서 기단토층 까지 일정한 두께로 판축 되었음이 조사되었다. 미륵사지 서석탑은 목탑의 기초부와 석재로 번안된 목탑양식의 지상 구조물이 결합된 양상임이 확인되어 목탑에서 석탑으로의 변화과정을 입증하고 있다. 미륵사지는 중원 목탑지와 석탑이 동일 사역에 존재하고 있어 목탑과 석탑의 기초부 양상을 효과적으로 살필 수 있다.
    미륵사지 석탑 이후 불탑은 석탑이 주류를 형성하였으나 목탑 역시 고려를 거쳐 꾸준히 건립되었다. 이것은 다양성을 추구했던 통일신라 미의식의 계승인 동시에 일부 중국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요와 송대에 세워진 불탑은 이전 까지 주류를 형성하던 전탑과 함께 대형의 고층목탑이 유행했는데, 고려 건국 초 중국과의 밀접한 불교교류를 고려한다면 중국 목탑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수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는 건국과 함께 개경 10찰 건립기록과 사서에 전해지는 불탑 수리기록을 통해 목탑 운영이 확인되며,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까지 목탑건립이 지속되었음을 알려준다.
    목조건축의 판축을 석탑에도 공통적으로 적용한 것은 고대인들이 석탑에 대해 가지고 있던 목조건축의 번안이라는 인식과 함께 중량건조물의 하중처리를 동시에 고려한 결과다. 석탑의 기초부 축조는 판축과 성토, 삭토공법이 조사되었는데 판축을 근간으로 한 다양한 변형공법이 확인된다. 고려시대 석탑의 기초부 축성에 있어 지역과 지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점은 건탑 기술자에 따른 작의성과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자재를 이용해 築成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Structures fulfill stylobate in order to sustain the load of the superstructure and protect the construction from the ground. At the same time, weight buildings need to be essential to reinforce bases for keeping the buildings stably from width pressure and vertical load distribution.
    After liberation, many pagodas were repaired and restored but they didn't endure just 30 years. Their repair and structural safety problems are caus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pagoda foundation.
    A stylobate and foundation of pagoda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for structure sizing and safety. It was borrowed by an post-lintel stylobate, and sub-substructure co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ancient technique of civil engineering such as mountain fortress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pagoda foundation was started on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版築工法) technique. of wooden pagoda or wooden architecture. On eastern pagoda site and western pagoda of Mireuksaji, after excavation as square or trapezoid type, certain thickness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was investigated from the lowest part to soil stratum of stylobate.
    As the western pagoda of Mireuksaji has been verified that the combined aspects of wooden pagoda foundation and wooden-style ground structures adapted as stone, it has been proven to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wooden pagoda to stone pagoda. As the midfield wooden-pagoda site and stone pagoda are present in the same temple site on Mireuksaji, w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aspects of foundation of wooden and stone pagoda.
    The stone pagoda since Mireuksaji formed main stream, but also wooden pagoda was built steadily through Korea dynasty. It sought a diversity of aesthetic unified Silla, at the same time some isn't able to overlook the impact of China. In Yo and Song dynasty, A large high-rise wooden pagoda fashioned with brick pagoda that formed the main stream previously. Considering the close mutual exchange Buddhism between early Korea dynasty and China, Korea would accepted the influence of China wooden pagoda style partly.
    With establishing Korea dynasty, wooden pagoda erecting was assured by constructing records of 10 temple in Gaegyeong and through pagoda repair records in history books. Beopjusa Temple Psalsangjeon shows that wooden pagoda construction lasted to Chosun dynasty.
    The common application of wooden architecture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at stone pagoda is the result that consider the load handling of weight architecture and the ancients' awareness for wooden building adaptation on stone pagoda. The construction of stone pagoda foundation was investigated as 판 fill-up and digging ground technique, and various transform methods based on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were confirmed.
    In construction of foundation on Korean-style stone pagoda,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 and topography didn't appear. It revealed pagoda building engineers used the materials that can obtain easily around. Also their creative impulse effected when they made pagoda some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