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주시 부도심의 형성실태와 특성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bcenter in Cheongj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1.12
24P 미리보기
청주시 부도심의 형성실태와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地域政策硏究(충북연) / 12권 / 2호 / 265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호중, 황희연

    초록

    -

    영어초록

    Cheongju,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pivotal city being larger than medium-sized city in terms of the size of population and their economic activities. The recent removal of greenbelt classification in the city signals an overhaul in the shape of the city and areas in vicinity of the city. On the verge of the expected transformation from a mononuclear city to a metropolitan area, the study on possible urban planning seems to be an essential prerequisite. And this study will focus on how Cheongju spatial structure could be properly reshap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development of Cheongju's subcenters and their locations. First of all, in a way of identifying subcenter formations in the city, key compon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s -timely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opulation, representing residence activities and production activities, and employ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and employment are also examined along with their historic trends. Firstly, it is noticed that outflow movement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has already been undertaking in Cheongju. The suburban migration of people preceded the expansion of economic activities to rural area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both ingredients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As the central district of the city is relatively empty at night, the urban development to stoke a resurgence of population is required. In-migration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into the city has been growing while the widespread spatial distribution across the city is caught. With location values of certain areas making up the second bracket of prices, Cheongju is 忠北開發研究 12(2) considered to be in the process of the sub-urbanization, meaning its space structure is expanding outward. The process is also translated into the starting point to transform into a multinuciear structure. In other words, that indicates that environments are being developed to establish the city subcenters. Secondly, by using CBHI and CBII, devised by Murpy and Vance (1954), I have identified six areas being developed as the subcenters of Cheongju - Gagyeong section, Gongdan five-way intersection, Sachang intersection, Bongmyeong section, Yullyang section, and Yongam section. These area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ose subcenters set up by the Cheongju city government, spread out into west, north and south of the city, forming T shape from the city center. Lastly, those city subcenters consist of non-residential structures, mostly sales outlets while each subcenter has its own characteristic in terms of functional aspects. Considering that a subcenter combines all functions of a city, Cheongju's subcenters have more multinuciear characteristics than multicentric elements. The fact that the six subcenters are located in the areas whose land prices fall into the second highest level in the city also qualifies them as subcen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ll for the policies that encourage a resurgence of population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to curve city emptiness at night and eliminate the gap arising from differential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In addition, Cheongju's urban development planning needs to concentrate on creating a multinuciear type for its spatial structure whil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ity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