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翰苑』의 편찬과 蕃夷部 (The Compilation of Hanwon(翰苑) and Foreign Countr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8
26P 미리보기
『翰苑』의 편찬과 蕃夷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20호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윤용구

    초록

    『翰苑』은 기원 660년 張楚金(?~689)이 찬술하고, 雍公叡가 注를 붙인 類書의 抄寫本이다. 문헌으로만 전하던 『한원』의 殘卷인 「蕃夷部」가 발견된 지도 한 세기가 넘었다. 『한원』 번이부는 중국 주변 15개 이민족을 서술 대상으로 삼았다. 이 가운데 『한원』이 편찬된 660년경 존재한 이민족은 高句麗ㆍ新羅ㆍ百濟ㆍ倭國뿐이었다. 이 때문에 『翰苑』 번이부는 6~7세기 삼국시대 후기의 ‘東夷傳’이라 부를 만하다.
    현재의 『한원』은 필사본으로 전해져 오는 동안 많은 오ㆍ탈자와 衍文, 改文이 유난히 많아 이용에 주의를 요하는 자료로 알려져 왔다. 1922년 처음 영인본이 간행된 이래 일본과 중국에서 적지 않은 교감ㆍ역주, 그리고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원』 번이부 연구의 최대 관건은 신뢰할만한 교감문이 없었기 때문이다. 2018년 기왕의 교감ㆍ역주를 종합한 『譯註 翰苑』 이 간행되면서 향후 연구의 토대가 만들어 졌다.
    그 동안 한국학계의 『한원』 번이부 연구는 대체로 지금 전하지 않는 기록만을 고구려ㆍ백제ㆍ신라 등 해당 시대사 연구에 이용하는 형태였다. 『한원』 번이부 전체의 구성과 서술방식, 大 字 正文과 注文과의 관계, 주문의 구성과 기재방식 등 종합적인 분석은 취약하였다. 본고는 『譯註 翰苑』의 출간을 계기로 본격적인 연구에 필요한 문헌적 연구의 여러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隋唐이래 적대적 관계를 유지해 온 고구려와 백제에 대해서는 침공 시 주요 거점과 요새, 도로 등 지형지물에 대한 서술이 중심이 되어 있다. 인용한 史書도 대부분 지리와 사신의 첩보 활동에서 수집한 자료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를 통해 『한원』에 고구려ㆍ백제ㆍ신라 중심의 蕃夷部 를 설정한 것은 660년 당시 동이사회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관리 지망생인 童蒙의 학습서로 만들어 졌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Hanwon(翰苑)" was written in 660. It is a book compiled by Jang cho-geum(張楚金, ?~689). The "Hanwon," which has been handed down as a record, was discovered 100 years ago. "Hanwon" describes 15 different ethnic groups around China. Among them, "Goryeo, Silla, Baekje, and Waguk" existed around 660 when Hanwon was compiled.
    The reason why "Hanwon" is important as a historical material is that there are many historical books that have not yet been published in the order. There are about 16 kinds of "unwritten history books," but they are concentrated on "Koguryo, Silla, and Baekjejeon." Its contents span political systems, geography and social customs. Therefore, "Hanwon" can be called "Dongyijeon" from the 6th to 7th centuries to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on "Hanwon" in Korean academia has used only records that have not yet been handed down for historical research such as Goguryeo, Baekje, and Silla. This paper is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literature research necessary for full-scale research.
    He emphasi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Banyibu(蕃夷部) in the center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in Hanwon was based on the actu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Dongi(東夷) society in 66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