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朝鮮時代) 경상도(慶尙道)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 지역 향약(鄕約)의 변천 (History of Hyangyak(鄕約 Village Code) in Miryang Dohobu(Town castle) District,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조선시대(朝鮮時代) 경상도(慶尙道)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 지역 향약(鄕約)의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37권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이광우

    초록

    조선시대 성리학은 통치 이념과 철학적 사유체계 및 각종 사회조직과 자치규범으로 표방되었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형성되었던 각종 계(契)와 결사(結社) 조직이성리학적 자치규범인 향약으로 그 외형을 탈바꿈하였다. 향약은 일향(一鄕) 동리(洞里) 촌(村)을 단위로 시행되기도 하고, 문중 교우 및 각종 상부상조 조직 등의 운영 명분으로도 활용되었다. 이중 재지사족과 지방관 주도로 시행되었던 일향 단위의 향약은 자치의 명분을 가장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재지사족들은 자치의 명분으로, 지방관은 원활한 통치의 목적으로 향약을 활용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 경상도 밀양도호부에서 시행된 일향 단위의 향약도 이 틀 속에서 이해 할 수 있다.
    밀양에서 시행된 일향 단위의 향약은 크게 세 단계로 살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사림파의 종장이었던 김종직(金宗直)이 활동하던 15세기 후반이다. 그는 정부에 유향소 복설, 향사례(鄕射禮) 향음주례(鄕飮酒禮) 거행을 건의함과 동시에 밀양에서 이러한 향촌교화사업을 시행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간여하였다. 이 시기 김종직의 활동은 17세기 이후 밀양 향사당(鄕社堂)에서 향약을 시행하는데 사회적 기반과명분이 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밀양 지역에서 향안(鄕案) 질서가 확립되던 17세기 무렵으로, 지방관인 밀양부사의 협조를 받아 향사당에서 시행할 향약이 제정되었다. 이때의 향약으로는 1648년의 「무자향약(戊子鄕約)」이 전하는데, 향사당 조직과지방 행정의 하부구조인 면리(面里) 조직을 포괄한다는 규정이 주목된다. 향약의권위를 통해 관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이 시도되었던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18~19세기로 향약의 권위를 보장하던 향안 질서가 붕괴된 시기다. 18세기 밀양의 재지사족 조하위(曺夏瑋)는 향약 조직에 고을의교임(校任) 이임(吏任) 등에 대한 인사권을 부여시킨 향약을 제정하여,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복구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방하였다. 19세기에는 「무자향약」 과 조하위의 향약을 참작해 지방관이 향약 제정을 주도해 나갔다. 향약이 자치보다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던 경향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Neo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erved as the rationale or cause behi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and autonomous norms. In particular, Hyang'yak(Village Compact) that was practiced on the basis of Ilhyang under the leadership of provincial noble famil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most clearly reveal the cause for autonomy. Ilhyang based Hyang'yak that was practiced in Miryang-Dohobu,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can be understood within this frame and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late 15th century where Jong-jik Kim, the head of Sarim Party, was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He was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village enlightenment projects such as restoration of Yuhangso and implementation of Hyangsarye and Hyangeumjurye(Confucian ceremonies and banquets) in Milyang. The second stage is around 17th century and an iconic Hyang'yak called Muja Hyang'yak was established in 1648. It is noticeable that this Hyang'yak contains stipulations regarding the extended coverage of governance that includes Hyangsadang (shrine) and Myeonri ogranizations. The third stage is 18th and 19th century when autonomic aspects of Hyang'yak were weakened. In response, provincial noble families of Milyang in the 18th century established Hyang'yak that granted Hyang'yak organizations th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over Confucian school personnel and public officials in a bid to restore village governance order oriented toward noble families. Enactment of Hyang'yak in 19th century was 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seemed to use it as a means of governance rather than of auton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