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5세기 고구려의 수묘인 매매 금지와 ‘富足之者’에 대한 검토 (A Study of the Prohibition on Royal Tomb Keepers Dealing and Bujockjija(富足之者, Rich and Politically Powerful People) in Goguryo during 4-5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7
31P 미리보기
4-5세기 고구려의 수묘인 매매 금지와 ‘富足之者’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61권 / 35 ~ 65페이지
    · 저자명 : 최일례

    초록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릉비가 제작된 시기, 왕릉의 수묘인이 매매되었던 배경에는 수묘인이 담당하였던 업무와 연관되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해당 시기 수묘인의 업무는 왕릉인 적석총 축조와 정비, 묘역에서의 四時祭祀, 묘역 洒掃와 같은 것들이었다. 광개토왕 이전 수묘인은 국내성 원근에 거주하는 舊民만을 선발하였다. 舊民의 거주 지역은 광개토왕 이전의 고구려 영역으로 서쪽으로는 요동 이동, 북으로는 송화강 이남, 남쪽으로는 평양 이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나 요동 이동 지역은 이른 시기부터 주변 이민족과의 잦은 전쟁에 시달려왔다. 광개토왕대에서 멀지 않은 고국원왕 12년에도 前燕의 모용황이 남녀 5만의 백성을 포로로 잡아갔다. 舊民 5만이 유출된 대사건으로 舊民의 수적인 감소는 결과적으로 수묘를 담당할 백성들의 쇠퇴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광개토왕이 수묘인 매매 금지령을 발령하기 전, 富足之者는 왕릉의 수묘인까지도 매매할 정도였다. 국내성 주변에는 한 변의 길이가 25m가 넘는 초대형급 적석총이 최소 37기 이상이나 있다. 그리고 한 변의 길이가15m가 넘는 대형급 적석총은 최소 60기 이상이다. 왕릉과 동일한 규모의 초대형급 적석총을 축조할 수 있는세력은 당대 최고의 정치적, 경제적 지위를 갖는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에 富足之者라고 지칭된 계층은 적석총을 묘제로 채택하면서 또한 정치적, 경제적으로 최고의 권위를 지니고 있던 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고구려에서는 왕실의 大加만이 칭할 수 있는 古鄒加의 칭호를 사용하면서 3세기 후엽까지도 독자적인 종묘제사를 거행하였던 세력으로 소노부가 있었다. 엄연히 계루부 왕실이 집권하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前 왕실세력인 소노부의 종묘제사가 용인되었다. 소노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과 왕권을 정점으로한 배타적인 제사제도가 미확립되었음을 시사한다. 게다가 소노부의 토착지인 졸본은 지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해당한다. 졸본은 요동을 경유하여 오는 이민족을 방어하는 요충지이며 또 한편으로는 고구려의시조묘가 위치한 곳이다. 그래서 중요한 시기 고구려 왕들은 졸본으로 직접 가서 시조묘에 제사하고 국가적통합을 도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듯 소노부의 위상과 졸본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에 근거할 때, 4세기말까지도 거대한 적석총을 축조하고 수묘인을 두어 독자적인 제사를 지냈던 富足之者의 하나로 소노부의 大加 가 유력하다고 판단하였다.
    4세기말, 광개토왕은 수묘인 매매 금지령을 발령하고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한 형벌을 경고하였다. 불과 얼마전까지만해도 前 왕실세력인 소노부의 종묘제사가 유지되고, 諸加세력들이 합의하여 형벌을 부가한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광개토왕대 왕권이 강화되면서 富足之者라고 불려졌던 세력들을 강하게 통제할 수 있게 되었던 시대적 배경이 담겨있다고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It was understood that the periods when the Jian Gyoguryo Stele and the King Gwanggaeto Stele were made and the background of tomb keeper dealing were related to their job. At that time, tomb keepers were in charge of building stone-piled tombs named Jeoksukchong(積石塚, Stone Mound Tomb), maintenance of royal tombs, giving sacrificial rites and clean-up of tombs. Before the King Gwanggaeto reign period, only Goguryo people living near Guknaesung(國內城) were selected as tomb keepers. They lived in Goguryo area before the King Gwanggaeto reign period Liadong to the west, the south area of Songhua Jiang to the north and the north area of Pyongyang to the south.
    In particular, the east area of Liaodong suffered from frequent wars with outsiders. In the 12th reign year of King Gogukwon which was not far from the King Gwanggaeto period, King Moyongwhang of the pre-Yean(前燕) period took 50,000 Goguryo men and women as prisoners of war. It was suggested that it caused decrease in the number of persons who would be in charge of tomb keeping as Goguryo lost a great number of Goguryo people. Before King Gwanggaeto issued the prevention against tomb keepers dealing, Bujokjija traded in royal tomb keepers. There were more than 37 huge stone-piled tombs whose size of a side was over 25 meters around the Guknaesung and more than 60 ones whose size of a side was over 15 meters, It was suggested that the forces who could build as huge stone tombs as royal tombs had the highest political and economic positions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it was understood that the class named Bujokjija in the King Gwanggaeto Stele had the highest authority in politics and economy as they adopted Jeokseokchong as a tomb system. Both of royal family and potent forces needed capable tomb keepers with the same ability for building and maintenance of the same-style tombs named Jeokseokchong. However, Sonobu(消奴部) used a title of Gochooga(古鄒加) that was given to only great royal families and gave independent ancestral memorial services to the Jongmyo Shrine(宗廟) until the late 3rd century.
    Although it was under the Gyerubu(桂婁部) royal family's reign, the Jongmyo ancestral services by Sonobu, an ex-royal family, were permitted. It implies that the Sonobu had a great political influence and an exclusive ancestral service system controlled by royal authorities was not established.
    In addition, Jolbon as an indigenous land of Sonobu was a geographically and politically important area. It was a place of strategic importance to defend against for outsiders from Liadong and where Founder’s Shrine of Goguryo was located. Therefore, Goguryo kings of important periods went to Jolbon to directly give Memorial services to Founder’s Shrine in Jolbon and enhance national integration. In consideration of such Sonobu's status and Jolbon’s strategic importance, it was assumed that the Daega(大加) of Sonobu would be one of Bujokjija who built huge stone tombs and for which tomb keepers gave independent ancestral services.
    In the late 4th century, King Gwanggaeto issued the prevention against tomb keepers dealing and warned that those who violated it would be punished. Not long ago it was wholly different that Sonobu's ancestral services to the Jongmyo Shrine was maintained and Jega(諸加, Several Daegas) forces agreed for punishment. It showed historical background that King Gwanggaeto could control powers called Bujokjija as his authority was reinfor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