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前漢의 정치동향과 琅邪郡-侯國의 設置와 徙封을 중심으로- (Political Trends of Early Han and Langye Commandery: Establish and Xifeng of Houguo)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08
39P 미리보기
前漢의 정치동향과 琅邪郡-侯國의 設置와 徙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28호 / 277 ~ 315페이지
    · 저자명 : 남영주

    초록

    漢初 郡國制가 전개되는 시기는 황제권을 강화하기 위한 中央과 자신들의 권력을 확대하려는 諸侯王들의 투쟁이 지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漢은 제후왕들의 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齊 지역을 여러 차례 분할하였다. 그 결과 齊 지역에서는 琅邪郡이 유일하게 郡으로 유지되어 황제 중심의 중앙집권화를 구축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漢이 郡縣制로 이행한 후 낭야군에는 지속적으로 侯國이 설치되어 전한시기 가장 많은 侯國이 존재하였다. 이는 낭야군 주위에 많은 제후왕국이 설치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후국은 중앙집권과는 상이한 성격을 내포한 존재이기에 중앙집권화를 위한 기반이 된 낭야군에 가장 많은 후국이 설치된 사실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前漢시기 중앙과 지역과의 관계를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뿐 아니라, 군현제 하에서 낭야군의 지역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에도 중요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본 고는 위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낭야군에 설치된 후국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낭야군에 많은 왕자후들이 봉해질 수 있었던 데에는 武帝시기 이후 諸侯王國 內에 侯國이 설치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漢이 왕자후들을 출신 제후왕국과 인접한 지역에 봉한 것은 자연・문화적으로 낯선 환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 낭야군에 봉해진 자들은 대부분 왕자후들이었는데 특히 城陽王子들이 대다수였다. 城陽國의 경우 주변에 제후왕국이 위치하고 있었기에 왕자후들이 봉해질 수 있었던 지역은 낭야군이 가장 적합하였다. 그러나 왕자후국을 제후왕국과 인접한 지역에 설치한다는 것은, 왕자후들이 연계하여 중앙에 대항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漢으로서도 견제하지 않을 수 없는 사안이다.
    漢初 城陽王의 一族들은 劉氏 一族들 중 황제권에 대해 가장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무제시기 이후 성양왕의 후손들은 정치・경제적 영향력은 상실한 채 지역을 기반으로 정착하여 토착・호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실이 낭야군을 비롯한 齊 지역 일대에 설치된 城陽景王 祠였다. 王莽에 의한 외척정치로 인해 극도의 혼란한 상황에서 성양경왕 사는 민심을 규합하는 구심점이 되었으며, 漢의 부흥을 내세우는 세력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이러한 일들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성양왕의 후손들이 자신들의 후국에 성양경왕 사를 건립한 후 지속적으로 숭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민중들의 신앙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군현제가 전개되는 동안 낭야군은 왕자후들의 封地, 특히 성양왕자들의 봉지였다. 봉해진 왕자후들은 한초와 달리 중앙권력에 위협이 되지 않는 지역 세력에 불과하였다. 武帝시기 이후 왕자후국은 漢初와 달리 그 성격을 달리하였던 것이다.
    무제시기 이후 侯國이 중앙에 위협적이지 않더라도 수적인 증가와 廢封이 감소되는 현상은 漢으로서도 간과할 수 없었다. 이에 중앙에서는 徙封을 통해 후국을 견제하였다. 낭야군에 봉해진 성양왕자들의 후국은 지속적으로 사봉되었고, 다른 지역에 봉해진 성양왕자들의 후국 또한 낭야군으로 사봉되었다. 군현제 하에서 낭야군은 왕자후, 특히 성양왕자들의 사봉지였다. 漢은 郡縣制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황제 중심의 중앙집권체제를 이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侯國’에 대한 운영을 통해 중앙집권체제를 뒷받침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a political trends of Early Han and Langye Commandery. Epecially establish of houguo and xifeng in the course of centralization of power in Langye District during Early-Han era.
    The process which rulers had made a ruling based on Langye Commandery from Gaozu period to Wendi period in the early Han dynasty was investigated. This period was a period to lay the foundation for centralization of power. Gaozu made Langye Commandery belong to the center, because he could fight against the Emperor's rights on the basis of an economical superiority of Langye. The efforts to secure a power base at Langye Commandery was exposed more specifically in Luhou time. Luhou made Liuze feudal lords at Langye Commandery in order to strengthen his power. He did take action because of Liuze's military capability.
    Wendi enthroned by meritorious retainers put emphasis on Langye Commander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Emperor's right having been nominal. By the 16 years of his reign, Wendi divided lands of feudal lords, and then imparted to the prince. But he leaved only Langye Commandery behind as chün system among seven chün system which belong to the lands of Qi. This is sufficient to show that Langye Commandery was classified as a direct ruling subject of a centralization of power in the early Han Dynasty.
    I examined the aspects of governance of chün-hsien system in Langye district during Han Dynasty. Langye Commandery was only maintained as a chün in the region of Qi during the period of early Han, and the most houguo had been established in the area due to a political environment. Many princes were appointed in Langye Commandery. Therefore, Han Dynasty noted the phenomenon that the princes become a lord in based on houguo. As a result, the Dynasty tried to keep in check the their forces through xifeng which move their la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