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연합봉사회: 1950년대의 기독교 연합사업 연구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A Study of Christian Cooperative Project in the 1950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0.09
28P 미리보기
기독교연합봉사회: 1950년대의 기독교 연합사업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33호 / 81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흥수

    초록

    1945년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사회는 남북분단과 전쟁으로 구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대거 발생하고 있던 시기였다. 이 상황에서 기독교 배경을 가진 외국원조 단체들이 내한하고, 일제말 한국을 떠났던 선교사들도 다시 내한하여 선교활동을 재개하였다. 선교사들은 새로운 선교과제를 찾는 과정에서 선교부간 연합사업을 구상했는데, 그것이 기독교연합봉사회(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의 설립으로 구체화되었다. 1948년 교파를 초월해 모인 선교사들은 사회사업과 농촌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이 회의의 결과로서 1949년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었다. 이 사업에 북장로회 선교부, 감리회선교부, 구세군, 캐나다연합교회선교부, 남장로회선교부가 참여하였다.
    다양한 교파의 선교부가 회덕에 기독교연합봉사회를 세우기로 한 것은 이 지역이 남한의 어느 지역보다도 한국인들에게 선교사들의 일치된 모습과 연합사업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원래 대전 지역은 감리교와 장로교의 선교지역 분할협정시 감리교 선교지역이 된 곳이었는데,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참여하는 기독교연합봉사회가 설립되면 연합사업의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지역이 될 것으로 보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교회와 민족의 분열이 가시화되고 있던 시기의 연합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기독교연합봉사회 헌장(1950년)은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을 한국국민 일상생활에 적용할 것을 실지로 보이며, 이 봉사사업에 지도자가 될 기독교 남, 여 신자를 훈련함”을 목적으로 하고 농촌사업과 구호 및 보건사업을 구체적인 사업으로 삼았다. 이 사업들은 1952년 가을 이후 농업 및 구호사업 전문가가 기독교연합봉사회 사업에 가담함으로써 가시화되었다. 수족 절단자 재활 사업은 세계기독교봉사회의 토리가, 농촌 지도자 훈련은 배민수가 책임을 맡았다. 감리교 선교사 딘 쇼웬거트는 시범농장 사업을 담당했으며, 고아원은 구세군에서 맡았다. 1955년까지는 결핵요양원과 영아원 사업이 추가되었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농촌사업과 구호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계획했으나 자금의 부족으로 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치중하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 부지에서 활동하는 구호단체들은 스스로 또는 연합봉사회의 모금으로 건축비나 운영자금을 마련했다. 기독교연합봉사회와 그 안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관계는 기본적으로는 전자가 사업 부지를 제공하고 후자가 이사회에 사업을 보고하는 관계였다.
    기독교연합봉사회는, 이미 한국선교 경험을 가진 여러 교파의 선교부가 한국에서 공동 설립한 기구라는 점에서 외국에 본부를 두고 한국에 파견되어 활동한 응급구호 중심의 외원단체들과는 성격이 달랐다. 재한 선교부들이 새로 설립한 단체이면서도 농촌사업의 인력 및 재정에서 북장로교 평양선교부와 연관된 점에서 이 사업은 일제시기 한국교회 농촌사업과 역사적 연관을 가지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reigner's social work in Korea began by 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come to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for the propagation of Christianity. In 1946, professional relief organizations such as Catholic Relief Service and Church World Service began to work in South Korea for the poor people who came south from North Korea and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In this situation, an interdenominational mission conference, meeting in Seoul in 1948, stressed the great need for social work and leadship training for rur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conference, five missions working in South Korea decided to organize a cooperative project to be called,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to be located in Daejeon.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Methodist Mission, Salvation Army, United Church of Canada, and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joined in the cooperative project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Missionaries thought that in Daejeon, of all places in South Korea, there was the most favorable environment to make a great demonstration before the Korean people of the Christian unity of the missionaries.
    The Constitu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1950) stated the purpose of the Center as “To provide a practical demonstration of the teaching of Jesus Christ to the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of Korea and to train men and women to be leaders in service throughout Korea.” In the spring of 1953 the organization of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completely formulated. Mr. Dean Schowengerdt, agriculturalsit, of the Methodist Mission, was assigned to work in the Center. Rev. Pai Min Soo bagan to work for training rural leaders. The Board of Directors approved the establishment of four separate projects within the overall programs: Amputee Rehabilitation under the Rev. R. A. Torrey, Rural leaders Training under the Rev. Pai Min Soo, Farm Demonstration under Mr. Schowengerdt, and Orphange under the Salvation Army. In 1955 a Tuberculosis Rest Home and a Baby-fold was added.
    The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had an link, both financially and personally, with pre-war Pyengyang Statio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in this point it may be said as continuation of the rural work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Center was different from other Christian voluntary agenc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that it was organized in Korea by missionaries who had worked in Korea and had experienced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