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麟蹄 鳳停庵 五層石塔의 沿革과 特徵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in Inj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6
25P 미리보기
麟蹄 鳳停庵 五層石塔의 沿革과 特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7호 / 67 ~ 91페이지
    · 저자명 : 오호석

    초록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은 신라시대 자장이 당나라에서 얻어온 석가모니의 사리 7과를 봉안하였다고 전해져 내려왔다. 현재 봉정암 오층석탑은 일반형 석탑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고려후기 조탑 양식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석탑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봉정암 사적과 관련된 여러 자료를 통해 볼 때, 봉정암 오층석탑의 변화 양상이 확인되고, 양식적인 측면에서도 각 부재들 사이에 부조화가 확인되는 등 세밀한 미술사적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봉정암 오층석탑의 모습은 최초 건립 당시의 원형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봉정암과 관련된 사적기나 시문집 등 조선 후기의 기록을 살펴보면,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1738년 호남산인 등운에 의한 봉정암이 재건된 이래 1748년 설정에 의한 봉정암 중수, 1780년 계심에 의한 봉정암 중수, 1870년 환공대화상과 수산 청일대선사의 중수가 이루어졌다. 특히 18세기 김창흡과 19세기 전반 성해응 등의 기록을 통해 볼 때, 1711년에는 봉정암 오층석탑이 3층 탑의 형태로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 봉정암 중수 등 일련의 과정에서 오층석탑의 4~5층에 해당하는 부재가 추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양식적으로도 봉정암 오층석탑 각 부재에서 보이는 수법의 극명한 차이를 통해서 확인된다. 즉, 1~3층까지의 탑신석과 4~5층 탑신석이 서로 다른 형식과 기법을 보이고 있는데, 3층까지의 탑신석에 표현된 양 우주가 4층부터 생략되었고, 4층 이상의 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도가 급격해지는 인상이 강하다. 또한 상륜부를 이루고 있는 보주석은 조선 후기 석조 승탑에서 흔히 보이는 형태와 매우 유사한 모습이다. 이러한 봉정암 오층석탑은 백담사 삼층석탑과 강한 친연성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in Inje has been said to have enshrined seven Sarira of Buddha obtained from the Tang Dynasty by Monk Jajang in the Silla Dynasty. Currently,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is designated and protected as a nation-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s it is recognized as a stone pagoda that inherits the general style of stone pagoda and shows the peculiarity of the style of the pagoda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based on various data related to the Bongjeongam Temple historic site, a detailed review of art history is needed because several things were confirmed, such as the change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and disharmony between subsidiary materials in terms of style.
    It is clear that the current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is not the original shape at the time of its initial construction. Looking at the late Joseon Dynasty records, such as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Bongjeongam Temple and poetry collect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d been repaired several times. In other words, since Bongjeongam Temple was rebuilt by the Honamsanin Deungun in 1738, Bongjeongam Temple was repaired by Seoljeong in 1748, by Gyesim in 1780, and by Grand Monk Hwangong and Zen Master Susan Cheongil in 1870. In particular, records such as Kim Chang-heup in the 18th century and Seong Hae-eu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show th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remained in the form of a three-story pagoda in 1711. Since then, it is believed that subsidiary materials for the 4th to 5th floors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were added in a series of processes to make the Five-story Pagoda of the Bongjeongam Temple. This fact is confirmed in terms of the pattern and style through the differences i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seen in each framework member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In other words, the pagoda body from the first to third floors and the pagoda body from the fourth floor show different forms and techniques: the corner columns on the pagoda body seen on the first to the third floor are omitted from the fourth floor, and the roof stone from the fourth floor has a sharp slope to drop off rainwaters. In addition, the jewel stone, which forms the upper ring, is very similar to the shape commonly seen in the stone stup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Five-story Stone Pagoda of Bongjeongam Temple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aekdam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