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챗봇 빌더 기반의 <홍길동전> 챗봇 프로토타입 연구 개발-고전소설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교육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Hong Gil-Dong Jeon Chatbot Prototype based on a Chatbot Builder - Focusing on Fusion Education in Classical Novels and Computational Thinking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3
35P 미리보기
챗봇 빌더 기반의 &lt;홍길동전&gt; 챗봇 프로토타입 연구 개발-고전소설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교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88호 / 47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우, 이명현

    초록

    본고는 고전소설과 컴퓨팅 사고를 융합한 비주얼 노벨 형식의 <홍길동전> 챗봇 프로토타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도는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여 챗봇 설계와 구현 과정에 작동하는 컴퓨팅 사고를 고전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고전소설 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한 것이다. 고전소설과 챗봇의 융합은 기존의 입시 위주 전달식 교육, 고전소설 서사에 대한 선형적 이해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주체적 체험에 기반을 둔 고전소설의 재맥락화, 인터랙티브 경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고전소설 전체를 대상으로 챗봇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홍길동전>을 로우 텍스트로 상호작용형 비주얼 노벨 형식의 챗봇 프로토타입을 연구 개발하였다. 챗봇 프로토타입은 ‘구상, 설계, 제작, 시범 및 수정’의 단계를 거쳐 개발 완료되었고, 현재 챗봇 빌더 단비 AI의 링크(https://bit. ly/37f7CrW)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연구 개발을 위해서 고전소설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속성과 자발성을 핵심 가치로 삼아 게임 설계 요소를 구상하였다. 그리고 설계 요소를 프로토타입에 반영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고, <홍길동전>에서 논쟁 요소가 될 만한 요소들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캐릭터 구축과 스크립트 작성을 통해 재판 형식으로 챗봇을 제작하였고, 챗봇 프로토타입을 시범 운영하고 오류를 수정하였다.
    고전소설 교육과 컴퓨팅 사고는 서로 융합하기 어려운 분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과정과 절차 중심의 컴퓨팅 사고는 학습자가 고전소설을 단계적,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습 방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융합 교육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변화하는 시대에 인문학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고, 학습자의 주체적 학습 체험을 강화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Hong Gil-Dong Jeon chatbot prototype in a visual novel form based on the fusion of a classical novel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an attempt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through chatbots by promoting the fus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operates in the chatbot design and realization process, with a classical novel to prepare for the AI era. This fusion chatbot can revise the old delivery methods of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a linear understanding of classical novel narratives, instead inducing the recontextualization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learners’ independent experiences, interactive experience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s it is difficult to program a chatbot for the entire collection of classical novels, the present study chose Hong Gil-Dong Jeon as a raw text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hatbot prototype in the interactive visual novel form.
    A chatbot prototype was developed through the steps of conception, design, making, demonstration, and revision. Access to the chatbot prototype is now provided at the chatbot builder Danbee AI link (https://bit.ly/37f7CrW). The process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was analyzed during the prototype research and development phase, and game design elements were devised with continuity and spontaneity as core values to enable learners’ independent learning. A plan was made to include potentially controversial elements of Hong Gil-Dong Jeon in the design elements of the prototype; based on these concepts, characters were created and scripts were written. The chatbot was created in a trial format, then operationally tested and revised for any errors.
    The fusion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computational thinking might seem complex, but computational thinking that focuses on processes and procedures can make up part of a learning approach to promote learners’ independent and phased understanding of classical novels. Such fusion education will expand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reinforce autonomous learning experiences in a changing era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