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담자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봄(seeing)을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Study On Clients’Counseling Experiences -focusing on see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내담자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봄(seeing)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 5권 / 2호 / 99 ~ 122페이지
    · 저자명 : 남정아, 차명호

    초록

    본 연구는 내담자가 경험하는 상담에서의 봄의 의미를 밝히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에 참여한 지 1년 이하, 12회 이상 상담을 받은 참여자 7명을 만나 그들의 체험을 심층 면담과 전화․메일을 통한 추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직접 겪은 상담 경험에서의 ‘봄’의 경험을 보다 원천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기존의 가정과 전제를 판단중지하며 해석하고자 하였다. 참여자가 경험한 상담에서의 ‘봄’의 현상은 ‘두 겹 봄’, ‘한 겹 봄’ ‘홀로 봄’의 3가지 주제와 ‘미리 봄’, ‘처음 봄’, ‘직접 봄’, ‘마주 봄’, ‘봄의 봄’ ‘떠나감’, ‘향하여 섬’의 7개의 범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상담에서 수동적 존재가 아니었다. 그들은 끝없는 ‘봄’을 통하여 상담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었다. 참여자들은 상담에 오기 전에 상담과 상담자에 대한 ‘미리 봄’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 상담자의 ‘봄’과 ‘자신의 봄’을 ‘겹쳐 봄’으로서 자신의 문제와 자신의 존재, 문제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아팠던 이야기를 토해내고 의미를 부여하며 흐릿했던 ‘두 겹 봄’에서 삶에 초점을 맞추는 ‘한 겹 봄’을 경험하였다. 결국, 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이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서는 ‘홀로 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을 체험한 내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내담자들의 상담 경험 중 ‘봄’의 경험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상담의 주체인 내담자들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pproached b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clarify the meaning of seeing in counseling experienced by the client. To this end, 7 clients who had been counseled more than 12 sessions and less than a year after participating in counseling were the participants, and th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via phone or e-mail were collected. In the research process, to more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seeing” in the counseling the existing assumptions and premises were interpreted while stopping judgment. The phenomenon of ‘seeing’ in counseling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three themes such as: ‘double seeing’, ‘one layer seeing’, and ‘solo seeing’. And seven categories were appeared such as: ‘seeing in advance’, ‘first seeing’, ‘direct seeing’, ‘seeing in person’, ‘seeing of seeing’, ‘leaving’, and ‘standing toward’. The participants were not passive beings in counseling. They made counseling their own through endless “seeing”. The participants brought ‘seeing in advance’ regarding the counseling and the counselor before joining the counsel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newly defined problems, their existences, and the meaning of the problem by overlapping the counselor’s ‘seeing’ and their ‘own seeing’. In such a process, they experienced changing into “one layer seeing”, which focuses on life from “seeing in double” which was blurry by vomiting and giving meaning to their painful story. Eventually,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seeing alone” toward the direction their life is aimed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possible to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who are the subject of counseling b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seeing” experience among the clients’ counseling experiences through their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