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카이브에 대한 안무적 접근: <봄의 제전(2013)>을 중심으로 (The Choreographical Approach to Archive: Focusing o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9
28P 미리보기
아카이브에 대한 안무적 접근: &lt;봄의 제전(2013)&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6권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재리

    초록

    본 연구는 아카이브를 활용한 안무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카이브와 무용 실천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카이브 경향의 컨템퍼러리 댄스의 창작과 담론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안무가 이민경과 조아오 도스 산토스 마틴스(João dos Santos Martins)의 작품 <봄의 제전(2013)>의 작업 현장에 참여하여 안무를 통해 아카이브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실천적인 논의를 구성하고자 했다. 이 작품은 100년간 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 Nijinsky, 1889-1950)의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을 재작업한 안무가의 작품들을 발굴, 수집하고 새롭게 맥락화하는 아카이브 방법론을 적용하여 안무를 발전시켰다. 이는 기존의 작품을 창작의 재료로 삼는 안무의 방식일 뿐 아니라 과거의 것으로부터 현재의 유효성을 찾는 컨템퍼러리 안무가의 역사적 태도로서 고정된 역사와 지식에 수행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창작 현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연습실에 기반한 연구(Studio-Based Research)를 적용했다. 본 연구자는 <봄의 제전(2013)>에서 해설의 역할을 하는 출연자로서 리허설, 개념에 관한 토론, 안무 구성, 해석과 성찰 등 안무의 각 단계에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관찰, 면담, 분석, 해석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는 현장에서 창작과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습실에 기반한 연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론과 실천의 통합적 관점에서 무용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아카이브에 접근하는 안무 수행에서 중요한 요소를 발견했다. 첫째, 예술작품의 저자와 재연자(reenactor)의 관계이다. 과거의 자료를 다루는 아카이브 방식의 공연에서는 원본을 현재에 번역하고 전달하는 재연 행위가 중요하다. 안무의 관점에서 아카이브는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재연되는 것이다. 둘째, 원본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통한 창조이다. 니진스키의 작업을 재연한 10개의 작품들은 원본과의 차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와 맥락을 생산하며 <봄의 제전(2013)>의 한 무대에 배치됨으로써 서로 다른 미학적 충돌을 발생시킨다. 셋째, 역사의 신체화이다. 아카이브에 대해 안무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현존하는 신체와 춤을 통해 과거를 현재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카이브 기반의 안무는 남겨진 자료들을 춤과 공연의 매커니즘으로 조직하고 이를 현재의 관객들과 나눈다. 따라서 아카이브에 대한 안무 행위는 역사에 대해 수행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와 안무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고자 했으며 연구의 결과를 통해 컨템퍼러리 무용의 새로운 작품 창작의 방식 및 담론의 생산의 방법과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s into the relationship of archive and dance practices by examining a case of archive applied choreography and I discussed the creation and discourses of contemporary dance which tends to archive. For this, I took a part in work of <The Rite of Spring(2013)> by Min Kyung Lee and João dos Santos Martins and I discussed the choreography which archive was applied. This work was developed into choreography by collecting and newly contextualizing many reworked versions of Vaslave Nijinsky(1889-1950)’s <The Rite of Spring> through archive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I applied Studio-Based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in the field of work.
    I found elements that deal with the choreographic approach to archive in <The Rite of spring(2013)>. First, the relationship of author and reenactor. A certain arts piece guaranteed authorship and this as the original guaranteed status in the past. However through a choreographer’s translation it seemed like a resistance against power and hierarchy given by history.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mimesis and creation. Through many repetetion of the original piece, differences are made with it, and in the translated works exists ‘singularities’. Thirdly, the embodiment of history. A choreographical approach to archive is to actualize the past through bodies and dance. Choreography which is based on archive organizes remaining documentation by a mechanism of dance and performance and to shar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is study, as I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rchive and choreography in a practical sense, I would suggest a perspective on the production of creations and discourses in contemporary dance using the arch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