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瓜亭>의 성립 과정 -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08
26P 미리보기
&lt;鄭瓜亭&gt;의 성립 과정 -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4호 / 251 ~ 276페이지
    · 저자명 : 윤덕진

    초록

    <정과정>이 향가와 관련을 가진다는 추정은 11단의 시행 배열과 결구 차사 수반에서 말미암았다. 시가사의 흐름으로 보아 이런 추정이 불가하지는 않지만 명확한 단서가 되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증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일본에 남아있는 고중세 가악 가운데에 도래 양식으로 보이는 <최마악>은 악곡 구조를 대비해본 결과 한국 가곡 계통인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정과정>에 남아 있는 악곡 정보를 통하여 <정과정>이 가곡의 선행 양식임을 확증할 수도 있었다. 이에 향가-<최마악>-<정과정>의 통서 수립이 가능하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고, 본 논문은 이 통서 규명의 시발점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통서 규명의 도달점은 향가의 악곡 형식이 되어야 할 터인데 우선, <최마악>과의 관련이 더 깊이 맺어져야 한다. 이 관련은 고중세 동아시아 가악 교류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터이므로 여러 분야의 연구 업적이 통합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표 설정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기존 <정과정> 연구의 여러 분야를 통합의 시각에서 다루었고, 문학과 국악의 연계선상에서 논지를 확보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정과정>의 악곡 구조에 관한 연구는 『大樂後譜』악보를 근거로 하여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이 작품이 계면조의 원류라는 사항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관심이 베풀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가악 풍도형용이나 시조계의 관습을 원용하여 이 문제에 접근하여 보았으나, 여전히 악조의 인상을 확인하는 선에 머물렀다. 선율 분석이나 다른 작품이나 다른 갈래와의 대비를 통한 구체적인 규명이 더 가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악곡 구성 방식상으로 보아 <정과정>이 무악 계통의 악곡이리라는 지적도 사회정치사적인 맥락에서 <정과정>의 음악적 바탕을 무속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와 연계하거나 무악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입시켜 보거나 하는 구체적인 작업을 통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은 결국에는 삼국시대의 가악을 무악 성향이 강한 것으로 보는 국악계의 연구 성과와 결합될 것이므로 향가와의 관계 규명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the restoration of HYANGGA's musical mode. There is very few data on HYANGGA’s performance, and only a handful of musical scores remains. Would we ever be able to sing HYANGGA again? Can we only read works of HYANGGA with the help of borrowed Chinese characters? Fortunately, Japan has preserved the old songs from the 7th~8th centuries, SAIBARA, which was originated from Korea. SAIBARA has the same characters as GAGOK, the classical song of CHOSUN dynasty. SAIBARA has very slow tempo and its dominant mood is gentle. The scholar-officials (sadebu) were the main audience of the GAGOK. The officials enjoyed the songs accompanied by geomungo, and the majority of GAGOK pieces were accompanied by geomungo. <CHEONGKWACHEONG> is also a song accompanied by geomungo.
    The close relation between GAGOK and <CHEONGKWACHEONG> was demonstrated by CHOSUN dynasty scholar-officials who were enthusiasts of geomungo. They testified that the modes of singing GAGOK, slow-moderate-fast THAEYUPs, came from <CHEONGKWACHEONG>.
    We can infer the relation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from the clear association between SAIBARA and GAKOK. The common factor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may be the type of performance, and this factor can be determined by the geomungo.
    In this study I try to clarify the common factors between the three singing mod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musical scores from CHOSUN dynasty. Further studies should involve investigation of the equivalent resources from Japan and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