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皇福寺址의 역사적 가치 및 특성 - 신라 중대왕실의 宗庙가람과 禪院가람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Historic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Hwangboksa Temple Site in Gyeongju)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6
27P 미리보기
경주 皇福寺址의 역사적 가치 및 특성 - 신라 중대왕실의 宗庙가람과 禪院가람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0권 / 121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복순

    초록

    황복사는 현재 경주 낭산에 3층 석탑, 2기의 귀부, 근처의 폐왕릉이 존재한 폐사지로, 근래 5차에 걸친 발굴을 통해 寺址의 기본 축과 도로 등을 밝힌 바 있다. 본고는 경주 황복사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첫째 황복사의 창건은 선덕여왕(632~646)이 진평왕(579~631)의 능사로서 창건하였고, 중창은 신문왕(681~691)의 사후 3층 석탑을 건립하면서 남북으로 형성되어 있던 가람의 축을 동서축으로 바꾼 것에 주목하였다. 둘째로 황복사가 신라 중대 왕실의 종묘가람이라는 점에서 그 면모를 고구하였다. 신문왕의 사후 신목태후는 祖廟에 모셔진 五廟의 毁撤이 어려운 상황에서, 불교식 眞殿에서의 제사와 종묘의 형식을 결합하여 황복사에 종묘를 설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황복사금동사리함명」의 ‘종묘성령을 받들기 위해 선원가람에 3층석탑을 건립하였다(奉爲宗庙聖靈禪院伽藍建立三層石塔)’에 근거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원가람인 황복사는 瑜伽사찰로 의상(625~702)은 29세에 황복사의 출가를 통해 공인된 신라의 관도승으로 661년 당에 유학한 것으로 보았다. 경덕왕 대(742~764)의 대덕인 표훈과 관련된 상원 원년(上元 元年)을 당 고종(674)이 아닌 당 숙종(760)의 연호로 보고, 표훈은 702년에 입적한 의상에게 친히 가르침을 받지 못한 경덕왕 대 大德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Hwangboksa Temple site is a ruined temple site with a three-story pagoda and two tortoise-shaped pedestals located near a ruined royal tomb in Gyeongju’s Mt. Nangsan. The main axis and roads of the temple were unearthed through recent excavations which had been conducted five times. This study reviewed the Hwangboksa temple site, focusing on three following aspects.
    First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and change of the temple’s main axis after reconstruction. Hwangboksa temple was constructed by Queen Seondeok (善德女王, r. 632-647) as the shrine temple of King Jinpyeong (眞平王, r. 579-632). Regarding the reconstruction, it discussed the change of temple’s main axis from the south-north to east-west axis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three-story pagoda which took place after the death of King Sinmun (神文王, r. 681-692) Secondly, the aspect that Hwangboksa temple was Jongmyo shrine temple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was examined. It is assumed that Queen Sinmok (神穆太后) built a Royal Ancestral Shrine in Hwangboksa temple, combining the rituals performed in the Buddhist portrait hall and royal shrine, after the death of King Sinmun. Since Queen Sinmok couldn't be demolished Five Shrines enshrined in the Jomyo (祖廟). This argument is based on the record, “three-story pagoda was built in order to revere holy spirits of a Royal Ancestral Shrine” inscribed on the gilt-bronze Sarira reliquary of Hwangboksa temple.
    Lastly, it is presumed that Hwangboksa temple is a Yogacara temple. Also, another argument is that Monk Uisang (義湘, 625-702) was a Silla-authorized Buddhist monk who joined the sangha in Hwangboksa temple at the age of 29, and went to the Tang dynasty to study in 661. With regard to the eminent monk Pyohun during King Gyeongdeok’s reign (景德王, r. 742-765),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era name of Shangyuan recorded in “first year of Shangyuan” indicates the reign title as being under Emperor Suzong of Tang (760), not Emperor Gaozong (674).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monk Pyohun was in holy orders called Daedeok (大德)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and he was not taught directly by monk Uisang who entered nirvana in 70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