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山西省 朔州 崇福寺 彌陀殿의 천수관음도 연구: 도상과 제작 시기를 중심으로 (The Iconography and Date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Mural in the Amitabha Hall of the Chongfu Monaste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6
27P 미리보기
중국 山西省 朔州 崇福寺 彌陀殿의 천수관음도 연구: 도상과 제작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6호 / 97 ~ 123페이지
    · 저자명 : 황선우

    초록

    천 개의 눈과 천 개의 손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千手觀音은 대자대비한 관음보살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한 존상으로 다양한 관음의 변신 가운데 가장 널리 신앙되어 왔다. 관련 경전에서는 千手千眼觀世音 혹은 天眼千臂觀世音 등으로 지칭되지만 통상 천수관음이라 불리며, 중국 唐代(618~907)에 인도로부터 신앙이 전래된 이래 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성행하였다. 중국 山西省 朔州 崇福寺 <千手觀音圖>는 金 皇統3年(1143) 건립된 彌陀殿 내부 벽면에 그려진 그림으로 지금까지 전각과 동시기에 조성된 금대 사찰 벽화로 바라보는 관점에 큰 이견이 없어 왔다. 한편 본고에서는 숭복사 <천수관음도>가 동일 전각에 그려진 나머지 금대 벽화와 비교해 보존 상태와 화풍에서 유독 큰 차이를 보이는 점에 주목하여 과연 이 그림이 미타전의 건립 시기와 일치하는 벽화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본 벽화는 지물을 들거나 수인을 결한 大手와 광배를 이루던 小手가 명확히 구분되는 전통 도상과 달리 宋代(960~1279)를 전후로 모든 손이 동일한 크기로 표현되는 새로운 천수관음 도상을 충실히 따르는 점에서 도상적으로는 금대(1115~1234) 벽화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없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도상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숭복사 미타전에 그려진 여타 금대 벽화와 화풍의 차이가 뚜렷하며 오히려 후대인 明代(1368~1644) 불화와 양식적으로 친연성이 두드러지는 점, 그리고 명대에 이르러 미타전 내 벽화와 조각의 중수가 이루어졌다는 다수의 사찰 기록이 전하는 점 등을 통해 숭복사<천수관음도>는 금대 도상을 모본으로 명대에 새롭게 그려진 것으로 제작 시기를 재고하였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보다 면밀한 도상과 양식 분석을 통해 동일한 전각에 그려진 벽화일지라도 다양한 시대적 층위가 있을 수 있음을 환기시키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a bodhisattva of great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with a thousand eyes and a thousand hands, has been widely revered in East Asia since its transmission from India to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618–907).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at Chongfu Monastery in Shouzhou, Shanxi Province, China, is a mural painted inside the Amitabha Hall, established in the third year of Huangtong era of the Jin dynasty (1143). To date, it has generally been accepted as a Jin period mural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as the hall itself. However, this paper questions whether it is valid to date the mural as contemporaneou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mitabha Hall, pointing out that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shows stark differences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artistic style compared to the other Jin murals within the same hall. From an iconographic standpoint, it is plausible to consider the mural as dating to the Jin period (1115-1234), as it faithfully adheres to the new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that emerged in China around the Song dynasty (960-1279). Nevertheless, the distinct stylistic differences from the other Jin murals and the greater affinities with later Buddhist paintings of the Ming dynasty (1368-1644) along with written records discovered from the Amitabha Hall suggest that the mural was most likely repainted based on Jin period iconography. This paper thus aims to shed light on the diverse temporal layers that may exist among the murals within a single temple h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