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福建省 가면극 作場戱의 공연 양상과 그 특성 (A Study on the Mask Dance “Zuochang-xi” of Fujian Provin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2.11
40P 미리보기
중국 福建省 가면극 作場戱의 공연 양상과 그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2호 / 327 ~ 366페이지
    · 저자명 : 오수경

    초록

    2012년 6월 처음 공개된 복건의 가면극 大田朱坂村의 豊場戱와 永安槐南鄕의 人場戱, 통칭 作場戱(做場戱)를 중심으로 그 특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做場(作場)’이란 판을 벌여 놀이를 한다는 의미로 송원대부터 연희와 관련된 기록에 보이는데, 이 어휘에 연희를 지칭하는 ‘戱’자를 붙여 자신들 가면극의 통칭으로 ‘做場戱’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 做場戱는 우선 지방희 및 인형극 전승이 풍부한 복건의 여타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매우 독특한 가면극으로 복건의 연극사에서 의미를 지닌 뿐 아니라, 중국연극사에서도 송원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비교적 오래 된 역사적 특성을 많이 지니고 있어서 주목을 받기에 족하다. 게다가 스스로 자신들의 가면극을 ‘잡극’, ‘희문’이라고 칭하기도 하여 심지어 송잡극을 계승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두 마을의 做場戱는 모두 闊公과 田公師父를 모시는 제의적 연극으로 豊作 및 祈福禳災를 目的으로 한다. 탈을 써서 신격을 연기한다는 점에서 여타 제의적 가면극들과 상통하며, 闊公, 土地, 判官, 鬼將, 回回, 正媽, 副媽 등의 탈은 다른 가면극의 그것들과 비교의 여지가 있다. 실제 도교 교단의 道士가 제의 부분을 담당하고 있어, 마을 사람들의 연희와 종교인이 함께 하는 제의적 연극이다. 또 做場戱는 각기 하나 또는 두 성씨 내부에서 전승되는 宗族 연극이다. 종족이 전승의 주체로서 큰 역할을 하며, 연희 주체는 배타적 세습 체제를 기초로 한다. 그 내용 역시 종족 질서 유지를 위한 교화적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송대 기록에서 ‘做場’이 본래 떠돌이예인들의 打野呵(打野狐)와 연관됨을 살폈는데, 囉哩嗹(莲花落)으로 무대를 열고 신격의 등퇴장을 돕는 것이 그러한 제의성을 뒷받침한다. 그리고 전체 내용이 서로 연관이 없는 단편으로 옴니버스식 구성을 하고 있다는 점도 송 官本雜劇段數에 열거된 명목을 보는 것 같다. 도사가 封場과 開場을 하고 또 引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비교적 이른 雜劇의 양식에서 보이는 바와 같다. 이들은 이 가면극이 중국연극사에서 비교적 이른 양식의 특성을 계승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그와 함께 官話와 함께 방언을 쓰고, 복건의 민가와 大腔戱 腔調 등 복건의 지역적 요소도 보인다.
    이러한 가면극 양식은 判官, 魁星, 回回 등 인물과 장면 등은 안휘 강서 등지의 가면극과 공통점을 지니며, ‘科場’이라는 어휘, 입비뚤이탈, 파계승 장면 등 우리나라 가면극과도 유사한 점이 있다. 이는 복건에도 가면극이 전승되고 있고, 중국의 이웃 지역의 민간 제의극과 유사성을 가지며, 우리 가면극에도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는 연희여서 더 심층 비교의 여지가 있다.

    영어초록

    Through the research on the Mask Drama ‘Zuochang-xi’(做場戱, 作場戱) of Fujian province, the Fengchang-xi(豊場戱) of Datian Zhuban village(大田朱坂村) and the Renchang-xi(人場戱) of Yongan Huainan-village(永安槐南鄕) first open to scholars in June, 2012, I tried to fin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Fujian local theatre and even in the history of Chinese Theatre. ‘zuochang(做場 or 作場)’ means to have a performance or to make a space to play something, seen in the records related to the theatre and performance of Song and Yuan dynasty. People in the villages call their plays Zuochang-xi, just add ‘xi’ which means play. The Zuochang-xi has a very rare style in Fujian province, because in Fujian , there are so many kinds of local theatre and the puppet shows. So it has a special meaning in Fujian history of theatre. Also in the history of Chinese theatre, Zuochang-xi is important because it has many characteristics early Chinese theatre of Song dynasty. The villagers call their mask plays ‘Zaju’ just like the name of Song theatre. So some scholars like Ye Mingsheng consider it as a kind of Song-zaju.
    The Zuochang-xi performance is based on the worship of Kuogong(闊公) and General Tiangong(田公元帥), on purpose of good harvest, safety and happiness. It’s a typical ritual theatre with mask. The masks of Kuogong(闊公), Tudi, the god of Earth(土地), Panguan, theJudge(判官), Guijiang, the god of Ghost or the god of Exam(鬼將), Huihui, the Westner(回回), Zhengma, Kuogong’s wife(正媽), Fuma, Kuogong’s second wife(副媽) can be compared with some other ritual theatre of Anhui and Jiangxi province with big similarity. The monks of Daoist also take part in the ritual, plays leading role, so the Zuochang-xi is a ritual theatre performed by both villagers and the religious peopl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Zuochang-xi is the Kinship base. Fengchang-xi performed by Liao family and Yu family, Renchang-xi performed by Huang family. Kinship is the most important succession system of the tradition. The main roles are transmitted by heredity in family. The episodes are also mainly the matters of educating and enlightening the villagers to maintain the confucious order of the village.
     I examined the records about the ‘Da-ye-hu(打野呵, 打野狐)’ by the vagabond performing group of Song dynasty who make empty space into performing ground. In this ritual theatre, they have a special chorus called Luo-li troup(囉哩隊). They sing Luo-li-lian(囉哩嗹) whenever the divine characters come in and out of the stage. It tell us that they play the ritual to welcome and farewell the gods. The performance has an omnibus structure with the independent pieces. It seems somewhat similar to the repertoires of Guanben-zaju-duanshu of Song. There is a role called ‘chang-shi’ which means a stage leader, leading the characters onto the stage. It’s also similar to the role ‘Yinxi(引戱)’ of Song zaju. All the se characteristics tell us that it still keep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nese drama. Zuochang-xi also shows us the very local elements. It use both guanhua(官話) and dialect(方言).  It’s music has diverse origins though, it has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Fujian folksongs, Daqiang-xi(大腔戱) music etc.
    Zuochang-xi as a mask play, has similarity with those of Anhui and Jiangxi province. The more interesting feature is the similarity with Korean mask plays. Korean mask plays also call the piece ‘ke-chang(科場)’, mean sritual performance. They have the similar characters and episodes too, such as the apostate monk and Old Wife with slant mouth. It tell us there are big room to carry more comparative study among these mask plays both in China and in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