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典故 사용을 통해 본星湖 家門 『海東樂府』의 3人3色 - 李瀷·李福休·李學逵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individuality of Seongho(星湖) family’s 『Haedongakbu(海東樂府)』 through the aspects of Authentic Precedent(典故) use Focusing on Lee, Ik(李瀷), Lee, Bok-hyu(李福休) and Lee, Hak-gyu(李學逵))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10
35P 미리보기
典故 사용을 통해 본星湖 家門 『海東樂府』의 3人3色 - 李瀷·李福休·李學逵의 작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2권 / 42호 / 161 ~ 195페이지
    · 저자명 : 석진주

    초록

    본고는 李瀷(1681-1763)·李福休(1729-1800)·李學逵(1770-1835)가 지은 『海東樂府』의 典故 사용 양상을 비교고찰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세 작가는 친·인척 관계로서 모두 불우한 환경에서 『해동악부』를 창작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작가는 저마다 개성이 분명한 『해동악부』를 창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각자의 개성은 전고 사용 여부 및 경향성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세 작가가 지은 『해동악부』의 전고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세 작가 작품의 개성적인 면모가 잘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이익의 『해동악부』는 儒家의 十三經에 출전을 둔 전고를 의도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그 주요한 목적은 역사사실에 대한 자신의 평가와 권계의 논거를 경서에 출전을 둔 표현으로 제시하고자 함이었다. 이익은 유가 가치관 속에서 언제나 참이 되는 경서에서 역사 사실에 대한 자신의 평가와 권계의 논거를 찾아 제시하면서 자신의 논거에 대한 연역적 타당성을 보장 받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논술의 이면에는 유가적 이상세계로의 회복에 대한 기대와 의지가 바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복휴의 『해동악부』는 여러 시대의 중국 歷史書에 출전을 둔 전고를 다수 활용하였다. 이복휴 역시 기본적으로는 유가 가치관 아래 역사사실을 포폄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역사서 속에서 다양한 인간군상을 발굴해 내고 정함이 없는 인간 세태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복휴는 이러한 역사 소재를 채택하면서 종종 ‘해가 은혜에서 생겨난다[害生恩]’는 『陰符經』의 말을 떠올리곤 하였는데 인간 세태에 대한 씁쓸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
    이학규의 『해동악부』에도 전고를 사용한 예가 보이지만 이익·이복휴의 『해동악부』와 비교하면 전고를 많이 사용한 것은 아니다. 이학규는 전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사화의 내용 그대로를 작품화하고 포폄을 하였다. 그는 이러한 과정에서 악부라는 시체의 음악·형식적인 측면을 재현해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 사화를 작품화하면서 다양한 시적화자를 내세워 작품의 문학적인 성취를 고취하고자 노력한 흔적을 살필 수 있다. 그밖에도 사화를 대할 때 포폄의 측면뿐만 아니라 인물의 정감에 집중하여 작품으로 형상화한 것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weigh Lee, Ik(李瀷, 1681-1763)·Lee, Bok-hyu(李福休, 1729-1800)·Lee, Hak-gyu(李學逵, 1770-1835)’s 『Haedongakbu(海東樂府)』 through the aspects of Authentic Precedent(典故) use. The three authors were relatives and have deprived circumstances in common. Nevertheless, the three authors created writings marked by their strong individuality. Their individuality are more evident in the aspects of Authentic Precedent use. Therefore, this paper expects to come out their individuality through the aspects of their Authentic Precedent use.
    Lee, Ik’s 『Haedongakbu』 consciously used Authentic Precedents which came from the Confucian’s Thirteen Classics(十三經). The main purpose of it was to present the reasons for his argument about history. Lee, Ik wanted to ensure deductive validity that is always regarded as truth within Confucian values. Through this, we can confirm his expectation or optimism about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Lee, Bok-hyu’s 『Haedongakbu』 used diverse Authentic Precedents from various history books of different Chinese epochs. Lee, Bok-hyu also criticized histories with Confucian values in principle. However, he did not criticize histories only with Confucian values but found diverse people of all shapes and tried to create works of literature. Lee, Bok-hyu often recalled the words of 『Eumbugyeong(陰符經)』 ; ‘harm occurs good[害生恩]’. Through this, we can see his bitterish viewpoint o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s.
    Lee, Hak-gyu did not used many Authentic Precedents in comparison with Lee, Ik or Lee, Bok-hyu’s. Lee, Hak-gyu directly criticized histories. However, he tried to recreate the musical and formal aspects of Akbu(樂府). Besides, he chose various poetic narrators so that he raised standards of achievement in literature. And when he dealt with history, he more focused on individual sense of historical characters then criticism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